Tải bản đầy đủ (.pdf) (98 trang)

베트남 내 한국기업의 사무 한국어 특징 및 응용 연구

Bạn đang xem bản rút gọn của tài liệu. Xem và tải ngay bản đầy đủ của tài liệu tại đây (2.36 MB, 98 trang )

하노이 국립 대학교
외국어 대학
대학원
***************

VŨ THỊ BAY

베트남 내 한국기업의 사무 한국어 특징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NGHIÊN CỨU ĐẶC ĐIỂM VÀ ỨNG DỤNG CỦA TIẾNG HÀN VĂN PHỊNG
TRONG CÁC CƠNG TY HÀN QUỐC TẠI VIỆT NAM )

석사학위논문

전공: 한국어학
코드: 8220210.01


하노이- 2020


하노이 국립 대학교
외국어 대학
대학원
***************

VŨ THỊ BAY

베트남 내 한국기업의 사무 한국어 특징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NGHIÊN CỨU ĐẶC ĐIỂM VÀ ỨNG DỤNG CỦA TIẾNG HÀN VĂN PHỊNG
TRONG CÁC CƠNG TY HÀN QUỐC TẠI VIỆT NAM )


석사학위논문

.

전공: 한국어학
코드: 8220210.01
지도교수: Lê Thị Việt Hà


하노이- 2020


연구 윤리 서약서

이 논문은 본인 개인의 연구 결과물임을 밝힙니다. 논문에서 제시된 자료, 인용은
정확한 것이며, 결과는 다른 연구에서 게시된 적이 없습니다. 연구 윤리에 대한 위반 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대학 위원회의 결정에 따릅니다.

지은이

Vũ Thị Bay

i


감사의 말씀

본 논문은 완성되기까지 세심한 배려와 격려로 이끌어 주신 Le Thi Viet Ha 교수님께
진심으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는 선택한 주제는 선행 연구가 없는 분야입니다. 그러나 교수님의 지도를 받게

되어 영광이라고 생각합니다. 본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는데
교수님께서는 학문적인 지식을 차근차근 지도해 주셨습니다. 그리고 하노이 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 및 한국문화학부 교수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지은이: 부티바이

ii


국문 요약

논문의 주제는 베트남 내 한국 기업의 사무 한국어 특징 및 응용에 관한 연구이다.
현재, 베트남으로 투자되는 한국 기업의 수와 규모가 증가 됨에 따라 사무 한국어의
응용범위가 더욱 확대, 요구 되는 추세에 맞추어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베트남 내의 한국 기업 분야별 일반 사무직에 근무하는 베트남인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시행하여 직장 생활에서 사무 한국어 사용의 필요성과
상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한국인들이 함께 일하는 베트남인 직원에게 원하는 한국어
학습 능력 조건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종합하여 사무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제 1 장은 선행연구를 통해서 본 연구에 관한 이전 연구에서 밝히지 못했던 점을
평가 후에 논문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제 2 장은 사무 한국어 개념을 전술및 사무 한국어에 관련 기초 지식을 체계화 한다.
제 3 장은 베트남인 직원들의 사무 한국어 사용 실태 조사 결과를 통해서 현재 사무
한국어의 특징을 도출한다.
제 4 장은 한국인 관리자 200명 및 베트남인 직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조사한다. 그리고 베트남 내 대학교에서 가르치는 사무 한국어와 관련된 교재 및 베트남인
직원의 사무 한국어 학습 요구를 분석한.또한 극복 과제 돌출한다. ( 베트남 직원 사무실.
이를 통해 한국 업체에서 사무 한국어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극복해야 할 과제 확인).


iii


제 5 장은 상기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 직원들의 사무 한국어 체득 요구
뿐만 아니라 고용주의 바람을 알 수 있음. 또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존에 출판된
교재와 달리 한국 기업이 베트남으로 투자하는 분야 주제별로 교재를 제작 할 수 있다.
제 6 장은 본 연구에 대해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의의를 확인하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사무 한국어를 공부하고 현장 대응 시 기대 효과를 결론으로 하고자 한다
그러나 연구 수행 시간이 제한되어 현재 한국 기업은 베트남에 널리 투자하고 있는
분야에서 사무 한국어만 연구 집중하였으니 미래의 잠재적인 분야를 고려하지 못했다.

TÓM TẮT

Đề tài của luận văn là “Nghiên cứu đặc điểm và ứng dụng tiếng Hàn văn phịng
trong các cơng ty Hàn Quốc tại Việt Nam”. Hiện tại quy mô và số lượng các công ty Hàn
Quốc đầu tư vào Việt Nam ngày càng gia tăng vậy nên phạm vi ứng dụng của tiếng Hàn
văn phòng liên tục được mở rộng. Chúng tôi đã thực hiện điều tra yêu cầu về việc học
tiếng Hàn văn phòng với đối tượng là nhân viên Việt Nam làm việc tại các doanh nghiệp
Hàn Quốc khác nhau để tìm hiểu những tình huống họ thực sự cần trong công việc và
tổng hợp những mong muốn của người Hàn về việc học tiếng Hàn của nhân viên Việt Nam
để có thể thiết kế giáo trình tiếng Hàn văn phịng hiệu quả.
Chương 1: Thơng qua nghiên cứu tiền đề chúng ta có thể nắm bắt được những nghiên
cứu đã thực hiện liên quan tới luận văn và những khoảng trống cần được triển khai thêm.
Chương 2: Trình bày được về khái niệm tiếng Hàn văn phòng và hệ thống hoá được
những kiến thức cơ bản về tiếng hàn văn phịng.
Chương 3: Thơng qua việc điều tra tình hình sử dụng tiếng Hàn của nhân viên
người Việt Nam có thể rút ra những đặc trưng cơ bản của tiếng Hàn văn phòng hiện nay.
Chương 4: Tác giả tiến hành điều tra bảng hỏi với đối tượng 200 người Hàn Quốc
và 200 người Việt Nam, phân tích giáo trình liên quan tới tiếng Hàn văn phòng đang được

giảng dạy tại các trường đại học và nhu cầu học tiếng Hàn văn phịng của nhân viên người
Việt Nam. Thơng qua đây chúng ta có thể biết được tiếng Hàn văn phòng đang được ứng
iv


dụng ở tác cơng ty như thế nào và có những điểm gì cần khắc phục.
Chương 5: Căn cứ vào kết quả điều tra ở những phần trước chúng ta có thể biết
được mong muốn của nhà tuyển dụng cũng như nhu cầu học tiếng Hàn văn phòng của
nhân viên người Việt. Bên cạnh đó để khắc phục những điểm cịn tồn tại chúng tơi đã khái
qt và đưa ra được một giáo trình mẫu có tính ứng dụng cao, khác biệt so với những
giáo trình đã xuất bản trước đó với các bài giảng phân theo chủ đề, ngành nghề mà các
doanh nghiệp Hàn Quốc đầu tư phổ biến nhất hiện nay.
Chương 6: Trong phần này trình bày tóm tắt những kết quả đã làm được của bài
nghiên cứu, mong muốn thiết kế sách giáo trình tiếng Hàn văn phịng hồn thiện để có
thể giúp ích được cho những người Việt Nam học tiếng Hàn.
Tuy nhiên do thời gian thực hiện nghiên cứu có hạn nên luận văn chỉ xem xét
đến tiếng Hàn văn phòng trong phạm vi những lĩnh vực mà các doanh nghiệp Hàn
Quốc đầu tư phổ biến ở nước ngoài hiện nay. Chưa xem xét những lĩnh vực đang ở
tiềm năng trong tương lai.

v


목차

연구 윤리 서약서.............................................................. i
감사의 말씀.................................................................. ii
국문 요약................................................................... iii
TÓM TẮT ..................................................................... iv
그림 목차 .................................................................. viii

제 1 장: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3
3. 연구 방법 및 범위 .......................................................... 4
3.1 연구 방법................................................................. 4
3.2 연구 범위................................................................. 4
4. 선행연구 검토 .............................................................. 5
4.1. 외국 선행연구 ............................................................ 5
4.2. 국내 선행연구 ............................................................ 9
4.3. 베트남 내 이전 연구에서 밝히지 못했던 점 평가 및 논문 해결 방안 ......... 10
5. 논문의 구성............................................................... 13
제 2 장:

이론적

배경....................................................... 14

2.1 사무 한국어의 개념 ....................................................... 14
2.2 조사 과정 설명 ........................................................... 15
2.2.1. 조사의 목표 ........................................................... 15
2.2.2. 조사 방법 ............................................................. 15

vi


2.2.3. 조사 과정 시행 ........................................................ 16
제 3 장: 사무 한국어의 특징 ................................................. 19
3.1 설문 조사 대상 배경 ...................................................... 19
3.1.1 한국인 대상 배경 ....................................................... 19
3.1.2 베트남인 직원 배경 ..................................................... 21

3.2 사무 한국어의 특징 ....................................................... 24
제 4 장:

한국기업에서 사무 한국어의 응용 .................................... 27

4.1 베트남 내 사무 한국어 교육에 관한 교재 분석 .............................. 27
4.2 한국 기업에서의 사무 한국어 교육 요구 분석 .............................. 30
4.2.1 한국인 관리자의 생각 ................................................... 30
4.2.2 베트남 직원의 사무 한국어 공부 요구 분석 .............................. 31
4.3 한국기업에서 사무 한국어의 응용 실태 ..................................... 36
4.3.1 한국인 관리자의 평가 .................................................. 36
4.3.2 베트남 직원의 평가 .................................................... 40
제 5 장:

모의

사무 한국어 수업 설계 ........................................ 44

5.1 수업 목표................................................................ 44
5.2 수업 방식................................................................ 44
5.3 교수법................................................................... 44
5.4 사무 한국어 수업 모의 .................................................... 45
제 6 장:

결론 ............................................................... 59

참고문헌..................................................................... 63
부록.......................................................................... I

vii



그림 목차

[ 그림 3.1] 근무 분야 ........................................................ 19
[ 그림 3.2] 인력 규모 ........................................................ 20
[ 그림 3.3]

한국인의 직급 ................................................... 20

[ 그림 3.4]

한국어 가능한 인력 수량 ......................................... 21

[ 그림 3.5] 베트남인 직원의 학력 ............................................ 21
[ 그림 3.6] 근무 분야 ........................................................ 22
[ 그림 3.7] 직급 ............................................................. 23
[ 그림 3.8] 베트남인 대상의 경력 사항 ........................................ 23
[그림 3.9]

한국어 공부한 곳 ................................................. 24

[그림 3.10]

사무에서 필요한 부서 ............................................ 25

[ 그림 4.1] 직원에게 바라는 한국어 능력 수준 ................................. 31
[ 그림 4.2 ] 사무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 ...................................... 31
[그림 4.3] 베트남인 직원에게 사무 한국어 교육 계획 ........................... 31
[그림 4.4]


한국어 학습의 중요성 ............................................. 32

<그림 4.5>한국어 학습이 회사에 도움이 되는 정도 ............................. 33
[그림 4.6] 적절한 사무 한국어 학습 시작 단계 ................................. 33
[그림 4.7] 최종 목표로 하는 한국어 능력 ...................................... 34
[그림 4.8] 선호하는 사무 한국어 수업 형태 .................................... 34
[그림 4.9] 선호하는 사무 한국어 학습시간 ..................................... 35
[그림 4.10] 선호하는 사무 한국어 교육 과정 ................................... 36
[ 그림 4.11] 한국어 능력으로 업무에 총족한 가능성 ........................... 37

viii


[ 그림 4.12] 분야별에 필요한 어휘 및 표현 .................................. 38
[ 그림 4.13] 직원의 한국어 능력 .............................................. 39
[ 그림 4.14] 직원들이 사무

한국어 사용시 잦은 실수 .......................... 39

[ 그림 4.15] 직원들이 사무 한국어 사용시 잦은문법 문제 ....................... 40
[그림 3.12] 한국 기업 내 업무를 진행시 어려운 점 ............................. 41
[그림 4.16]

잘못된 전문용어 및 문법 사용 시 잦은 어려움 ..................... 41

[그림 4.17] 한국어 학습에서 선호하는 언어 기능 ............................... 42

ix



제 1 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지난 30년 동안 한국-베트남 양국 관계는 무역, 투자, 문화, 스포츠, 관광 등의 모든
분야에서 밀접하고, 효과적으로 발전해왔다. 양국 관계 개선을 반영하는 두 가지 주요
이정표가 있다. 2001년에 양국 관계는 "포괄적 파트너"관계로 향상 되었고, 2009년에는
"전략적 협력 파트너"로 더욱 격상되었다. 현재 한국은 베트남 투자 1위 국가이다. 양국은
2020년까지 총 300억 달러의 양방향 무역 교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강력한 상호 협력을
추진함과 동시에 양국은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무역 수지 차이를 점차 감소시켜가며
균형있는 발전을 꾀하고 있다. 2017년 12월까지 베트남에 대한 한국의 누적 투자 자본은
57,659.5천 4백만 달러였으며, 6,532건의 프로젝트가 있었다[1]. 한국의 일류 기업들이
베트남에 진출하여 지방 경제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2012년
초기 투자 자본금 8억 3천만 달러의 박닌 공업 단지 삼성전자베트남(주) 프로젝트이다[2].
최근 세계적 대기업들이 탈중국 하며 베트남으로 공장을 이전하는 추세에 한국기업들도
편승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베-한 양국의 경제 관계를 더욱 발전시켰다.
현재, 베트남으로 투자하는 한국기업들의 규모와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사무
한국어의 응용 범위가 계속 확대된다. 또한 중국이 안전한 투자 국가가 아닌 것으로
인식되는 한국 기업들은 베트남을 포스트 차이나로 간주하여 많은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1990년부터 한국기업들이 주로 호치민, 하노이 및 큰 도시 인근 지역 투자 시작했다.
Korcham 의 통계 결과에 따라서 2019년 업종별 기업 현황[표 1.1]을 보시면

2019년만

베트남으로 투자한 기업들이 총 3,248개가 있다.
제조업이 784개이며 24.14%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 전자, 전기 제조업 439개이며
1313.52%, 건설 및 건설자재 354개 10.90%, 유통 과 도소매와 무역 이 296개이며 9.11 %,

1



섬미유와 의류와 봉제 제조 231 개이며 7.11%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많은 투자가
이뤄지고 있는 지역으로는 Ha NOI, Bac Ninh, Bac Giang, Hai Phong, Hung yen, Da Nang, Binh
Duong 및 HCM 등이다.
보시다시피, 한국 기업들은 제조, 생산, 건설, 의류, 서비스 및 상업에 중점을 두고
베트남에 여러 산업에 투자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베트남에 투자한 한국 기업의 활동
범위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사무 한국어의 특성과 전문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위의 분야에서 한국어로 사용할 수 있는 인력의 능력과 전문성에 대한
조건이 많이 요구된다.
[ 1] 출처: Cục đầu tư nước ngoài, 2018
[ 2] 출처: Tổng cục Thống kê Việt Nam, 2014
사무 한국어를 언급하자면 각 활동 분야는 전문 어휘나 구체적인 직업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대해 요구하며, 기업의 근로자가 일반 사무실 범위의 언어를 이해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일하는 기업 유형의 전문적인 분야에 잘 알고 있어야 한다는 요구한다. 회사에서
관리하는 한국 사람인 대상의 인터뷰 결과에 따르면, 졸업한 지 얼마 되지 않거나 관련
회사에서 일한 경험이 없는 대부분 직원이 전문 어휘가 부족하고 업계 커뮤니케이션 상황
또는 업무 보고도 이러한 분야에 대한 교육 부족으로 인해 아직 능숙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사실은 사무 한국어의 적용 범위가 베트남 기업에서 갈수록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예비 조사에 따르면 교육과 교재 시스템에는 근로자가 자신 있게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방식 있고 충분히 제공하는 책이나 전공이 아직 없음을 보여준다.
Korcham 의 2019년 업종별 기업 현황에 근거하여 한국기업들이 베트남으로 가장
투자하는 분야가 제조업, 전자제조업, 유통, 도소매, 무역, 봉제 제조, 여행, 물류, 운송이다.

2


따라서 수업을 설계할 시 베트남으로 가장 투자하는 분야에 관련한 수업을 설계할 것이다.
한국 기업들의 꾸준한 유입으로 한국어 사용 필수 일자리 수요가 갈수록 증가한다. 한국어
학습자의 직무는 언어 지원뿐만 아니라 한국 기업주와 직원 간의 문화적 가교 구실을 하며

조직 체계가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돕고 있다. 상당한 고액 급여를 제시받으며 한국어
능력은 한국 기업에서 구직자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한다. 한국어 정규 교육을 받은 인력
외에도 최근에는 다른 전공 지원자들도 한국 대기업의 근무 환경에서 일하는 것과 매력적
급여를 원하기 때문에 한국어를 추가로 배울 계획이 있다. 위 현황은 한국어 사용 인력의
수요 및 공급이 모두 증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저자의 설문 조사를 통해
베트남의 교재 시스템이 불완전함, 사무 한국어 전문 강좌가 아직 없음, 학습자가 업무의
실제 요구 사항을 파악하지 못한 상태 등 현재 베트남에서의 사무실 한국어강의가 미흡하다.
이는 고용주의 엄중한 요구 사항에 따른 한국 기업에 지원하는 인력의 품질이 부응하지
못하는 결과를 야기한다. 베트남 내 한국기업의 사무 한국어 특징 및 응용 연구가 아주
절실하며 필요하다.
그러므로 저자는 “베트남 내 한국기업의 사무 한국어의 특징 및 응용에 관한
연구”란 주제를 선택하기로 했다.

2. 연구 목적
본 논문이 아래의 목표에 중점을 둘 것이다.
첫째: 사무 한국어에 대해서 신규 개념을 낸다.
둘째: 사무 한국어의 특징에 대한 이론 문제들을 체계화한다.
셋째: 최근에 사무 한국어에 관한 출판한 교재 및 선행 연구 실태를 개괄한다.
넷째: 현재 베트남 내 한국기업에서 사무 한국어 활용실태에 대해 설문 조사 한다.
다섯째: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서 한국 기업에서 사무 한국어의 특징을 파악후

3


효과적인 사무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3. 연구 방법 및 범위
3.1 연구 방법
본 테마를 연구 전개하기 위해 구체적인 다음과 같이 연구 방법을 진행한다.
3.1.1 정성적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사무 한국어 특징 및 응용 연구에 관련한 자료, 책, 교재, 논문 등을 연구

진행했다. 위에 언급한 자료를 평가 후 과학적인 이론을 제시했다.
3.1.2. 정량적 연구 방법
저자가 조사법 및 통계법을 통해서 사무 한국어 특징 및 응용 실태 밝혀낸 후 응용의
존재 점을 제시했다. 그리고 베트남 내 한국기업에서 근무하는 한국인 200명 및 베트남인
200명 대상으로 연구논문에 관련한 문제를 설문 조사했다. 그다음에 본 논문에서 언급한
문제에 대한 의견을 얻기 위해 한국인 관리자 대상으로 심층 설문조사 진행했다.
3.2 연구 범위
3.2.1 시간 범위:
2019 년 4 월부터 2020 년 8 월까지 베트남 내 한국기업에서 사무 한국어 사용 현황을

조사했으며 논문을 작성했다.
3.2.2 공간 범위:
저자가 북부 내 Ha Noi( 하노이), Bac Ninh(박닌), Ha Nam(하남), Vinh Phuc,( 빈푹),
Bac Giang( 박짱); 중부 내 Da nang(다낭), Ha Tinh(하딩); 남부 내 호치민(HCM), 빈즈엉(Binh
Duong,) 붕따우(Vung Tau )와 같은 베트남 내 큰도시에서 SK, Optrontec, Doosung, Samsung
SDV, Samsung SEMV, Samsung. C&T, Samsung Engineering, CJ Viet Nam, Huyndai, LG
Innotek, LG Chemmical, LS Mtron, Dasan 란 대표적인 한국기업 대상으로 조사했다.

4


4. 선행연구 검토
4.1. 외국 선행연구
직업 목적에 대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는 „한국에서 생활 중인 학습자에 집중‟하는
이나 (2018),(김선정, 김성수, 우창현(2014),안형미(2011), 이종선(2009), 장향실(2006), 김
진숙(2003), 이민혜(2003), 정명숙(2003), 김보경(2003), 등이 있다.
이나 (2018)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직업 목적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의 학습자들의 상당수가 졸업 후 한국 기업에 취업하거나 한국과 관련된
직업을 갖게 된다. 본 연구는 현재 중국 대학에서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사용되고 있는 교재를 분석하여 그들의 문제점을 밝혀 그를 바탕으로 교수 요목을

설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재학생뿐만 아니라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한국어 수업 내용을 설정할 방법과 명확한 방향을 찾을 수
있었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중국인 4 년제 국립대학 학습을
위한 연구가 한국어학과 학습자들의 직업 목적을 갖고 취업 준비와 취업 후에 직장에
들어가면, 원활한 업무 수행을 위해, 4 년제 국립대학에의 한국어학과 학습자들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한국어를 학습하는 경우에도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안형미(2011), 학습자 요구 분석을 통한 학습자 요구 분석을 통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안 연구에 관련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로 내용이 특수 목적
언어 교육과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의 분류를 하였다. 비즈니스 한국어 수업 설계의 개요
하기 위해서 저자가 학습자 및 한국인 직장 동료 자세히 요구 분석을 실행했다. 그리고
고용자 및 학습자의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안 요구를 파악하게 되었다.
이종선(2009),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 요목 개발 방안에 관련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일상생활과 직업 활동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의 필요성에 주목하고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 요목을 개발하는 데 그

5


목적을 두고 있었다.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은 일상생활과 업무 수행을
위한 한국어 교육이 어느 학습자 집단보다 필요하나 그들을 위한 교육 과정 및 교재 개발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외국인 근로자들의 요구와 특성이 반영된 한국어 교수
요목을 개발하는 것은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교재 발간의 지침을 제공하므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저자가 시행한 작업의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수 요목을 개발하였다. 외국인 근로자들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하여
일상생활과 직무 수행에 필요한 한국어를 핵심만 담아 초, 중, 고급의 단계별 교수 요목을
완성했다.
김진숙(2003), 기업체 근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특정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과제 단위 학습자 요구에 관련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직장 생활에 필수적인 48개의 연습 문제이며 11가지 그룹으로
분류되어있다. 그중에 쓰기 능력과 관련된 그룹은 보고서 작성, 출장 계획서 작성, 결산

보고서 작성 등으로 나뉘어 있다. 그러나 연구자는 문서 작성에 관한 연습 문제의 세부
목차를 어떻게 구성하였는지는 명확히 설명하지 않았다. 해당 연구에서 김진숙은 기업의
업무과 특성에 맞게 문서 작성 과제 유형을 적용 및 구체화하지 않았다. 실제 문서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지만 아깝게도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 활용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였다. 이 연구의 실패는 특정한 목적의 한국어 커리큘럼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지속적인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연구 순서에서 예비 조사도 언급되지 않았다. 또한 이연구에서 연구자는 설문
응답자의 과제 항목 반응의 신뢰도를 검증 수행하였지만 조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 수행하지 않았다.
이미혜(2003)의 저자가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 목적으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교육 현황 및 학습자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6


이 연구는 학습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그들의 직업별 상업 한국어 능력의 중요성을
조사하였다. 선정된 한국어 능력은 5개 영역이며 24가지의 연습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 쓰기 능력은 편지, 팩스, 메모, 짧은 보고서, 일반 보고서 작성의 5가지 유형으로
구성된다. 이미혜의 연구는 학습자의 요구를 체계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조사 대상들의
정보를 모을 수 있었지만, 언어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점은 아쉽다.
이 연구는 사무실 한국어 커리큘럼을 다뤘지만,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은
연구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상업적 사무실 한국어 교육 분야의 선도 연구로 여겨졌다.
하지만 연구 대상이 너무 광범위하다는 점(즉 한국어 교사의 학생과 일반 학생이 분류되지
않았으며 모두가 공통 연구 대상으로 합쳐진 점)은 이 연구의 약점이다. 조사자 40 명 중에
한국어 교사의 학생 수는 30%를 차지하였다. 이는 연구의 신뢰성과 정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면 조사 도구와 절차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언급하였지만, 조사 도구를 검증하는
과정은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정명숙 (2003)의 연구는 구직자를 대상으로 비즈니스 한국어 교수 요목 설계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전 연구의 교육 내용을 추가하며 구직자 및 취업자의 대상
분류하게 연구 진행한다. 구직자 대상의 4가지 주요 능력 그룹, 취업자 대상의 16가지 주요

능력 그룹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저자는 상세히 설명하고 실제 의사소통에서 수행 가능
언어 능력을 냈다. 그중에 구직자를 위한 쓰기 내용은 자기소개서, 추천서, 이력서 등이 있다.
취업자를 위한 쓰기 내용은 메모, 계획서, 보고서 등 다양한 17가지 유형의 연습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연습 문제를 냈지만, 교육 내용을
구축하기 위해 본인 연구 목적대로 학습자의 요구 사항을 조사하지 않고 이전 연구 결과를
사용하였다. 이는 연구가 정당성을 제한 점을 가지게 한다.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과정 연구를 구축하기 위해 김보경 (2003)은 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외국인과 그 들의 한국인 동료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상업 한국어에 대한 요구

7


분석을 조사 진행하였다. 저자는 교육 상황 및 학습자 실상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일반 상업 한국어 커리큘럼"의 설계에 연구 목적의 초점을 맞추고 상업 한국어 커리큘럼의
적용 제안을 제출하였다. 그러나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외국인인 학습자는 대부분 전문직의
직원 또는 중간 관리자이므로 그들이 주요 거래처 및 상사와 긴밀한 관계를 맺는 것을 쉽게
추측할 수 있다. 조사 대상으로 외국 직원의 주요 거래처 및 상사를 추가하면 저자에게
연구에 유용한 정보를 수집 도와줄 수 있다.
최근에는 한국에 거주하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연구 외에도 외국에서 학습자
대상으로 사무실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도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장향실(2006)의 연구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현황을 분석한 것이다. 저자는 중국
4년제 대학교들에서 한국어 전공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쓰기 능력 교육이 체계성 또한 단계
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저자는 연속성과 일관성의 원칙을 강조하고, 올바른 한국어 표현에 초점을
맞춘 기본 단계로 쓰기 커리큘럼을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중급 단계는 다양한 주제를
바탕으로 문서의 종류에 익숙해지도록 진행되다. 고급 단계가 실용적이고 고도 전문화되어
학습자가 전문 문서의 표현 양식과 방식에 따라 문서 구조를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알아야
한다. 고급 단계에서는 자기소개서, 설명문, 논문, 보고서, 설문지, 요약 등의 문서 교육이
체계적이고 진지하게 가르쳐야 한다. 저자도 커리큘럼의 내용을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구축하는 것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 연구에서 저자는 대학 4학년생에게

특별히 치중함으로 쓰기 교육에 대한 견해를 제출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지식을 가지는
졸업 대학생들이
기업에서 일하거나 진학하면 실제의 요구에 적응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그러므로 좀
더 세밀한 커리큘럼이 필요하다. 즉, 사무 한국어 쓰기와 학술 목적으로 한국어 쓰기의
커리큘럼이 별도로 개발할 필요하다.

8


상기 분석한 바와 같이, 그 연구들은 광범위한 상업 한국어를 바탕으로 사무실
한국어 교육 내용을 설계하였으나 해당 분야의 연습 문제 유형을 선정 원칙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특히, 커리큘럼에 들어있어 실제 직업 특성과 관련된 쓰기 연습 문제를 선정된
과정이 불분명 한 것은 연구에 언급된 커리큘럼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외국 선행연구를 통해서 외국에서 직업 목적 또는 비즈니스에 관련한 교재 및 책이
많다고 밝혔다. 그리고 연구도 깊고 품질도 좋으나 베트남어로 많이 번역하지 못하고 그리
응용하지 못한다.
4.2. 국내 선행연구
Trần Thị Hường (2015) Nghiên cứu xây dựng giáo trình Tiếng Hàn thương mại dành cho
đối tượng người học tiếng Hàn trình độ trung cao cấp 한국어 중-고급 능력 자를 위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설계 연구가 있다. 이 연구는 업무 목적으로 공부할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
가능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구축하는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저자가
분석, 설문 조사, 통계, 비교 등과 같은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보고서는 한국어 중고급 능력자, 한국 무역 회사에서 근무 지망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으로는 전국에
일부 한국어 학과, 과목이 있는 대학교에서 공부 중인 학생,

현재 회사에서 사무실

직원으로서 졸업생, 한국어 교사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가 비즈니스에 직장인의 직업을
부분적으로만 반영한다.
Hoàng Thị Yến(2010) “ Điều tra yêu cầu thực tế và ứng dụng vào xây dựng chương trình
đào tại tiếng Hàn thương mại: Giáo dục soạn thảo văn bản thương mại” 실무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및 적용-비즈니스 문서 작성 교육을 중심으로본 연구가 실무목적 한국어 문서 작성 교육을 위한 요구 분석하여 베트남에서의
실무목적 한국어 문서 작성 수업에 대하여 다양한 집단을 조사대상으로 요구분석을
함으로써 베트남 대학의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 현황 및 실제의 실무한국어 문서 작성

9


교육수요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요구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실무한국어 문서 작성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Lê Thị Ngọc Lan, Nguyễn văn Hạo, Đào Ngọc Tiến (2009)” “Đánh giá nhu cầu đào tạo tiếng
Hàn thương mại ở các trường đại học khối kinh tế- 경제대학교들에서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요구 평가” 저자가 경제대학교들에서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요구 평가하였으며 베트남 내
경제대학교들에서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 전개 방법 및 노선을 발의하 였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베트남에서는 사무 한국어에 대한 심층 연구가 많지 않으며
주로 무역경제 또는 행정 분야에 대한 연구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를 통해 베트남인 및
한국인의 사무 한국어의 응용 현황에 대해 알아 보고 효과적인 사무 한국어 교재를 제안할
것이다.
4.3. 베트남 내 이전 연구에서 밝히지 못했던 점 평가 및 논문 해결 방안
위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사무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예전과 비교하여
상당히 연구 되어 왔지만, 아직까지는 미흡하고 사회에서 요구하는 사무 한국어 능력에
부족할 수 없다. 연구 결과의 적용 측면에서도 새로운 발전이 있는데 단순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수준에서 그치지 않고 점차 세부적인 강의 내용을 제공한다. 이것이 사무 한국어
교재 편찬을 위한 상당히 확고한 기반을 마련한 연구라고 평가 된다.
또한 이전 연구에서 얻은 교훈을 습득하여 다음과 같이 저의 연구 방법과 내용에
적용 할 수 있다.
첫째, 현재 한국어 교재가 기업에서 요구하는 조건에 부합하지 않다. 따라서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 적용 가능성이 적합한 높은 교재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실제 요구되는
연구에 투자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 결과를 교육 프로그램 구축이나 편찬에 활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향후
연구되는 교육 프로그램에 실제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10


셋째, 조사 단계의 순서를 적절하게 중시하며 엄격하게 실행하고 조사 도구의
신뢰성과 적절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대량의 모든 관련 대상을 조사 대상으로 선택 및
포함은 연구의 최종 결과는 물론 조사 결과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보장한다.
한국에서는 베트남보다 직업 목적으로 한국어에 대한 한국의 연구가 훨씬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는 규모가 크고 높은 실용적이며 적절한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킨다.
이전 연구의 검토를 통해 사무 한국어 같은 실용적이며 높은 전문성을 갖춘 사무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구축을 위한 실제 연구가 부족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베트남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은 대학을 졸업한 후에 항상 한국 관련 회사에서 사무적인 직원으로 일한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구어와 문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한국 문화와 특히 한국 기업 문화에 맞게 한국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베트남 대학의
한국어 교육은 현재 한국어 일반 커뮤니케이션 교육 목적으로 중점을 두거나 사무 한국어베트남어, 베트남어-한국어를 하는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사무 한국어 관련 업무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학습자들이 다양한
주제와 언어에 노출되어야 함은 요구한다. 이 업무를 일반적인 번역 업무가 아니며 각
기업의 특성과 업무 상황에 따른 수준을 요구한다. 이 전공적인 업무를 잘 실행하기
위해서는 직원들은 고급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에 따라 교육을 받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저자가 언어학와 관리학을 결합한 학제 간 연구 방법으로 교육 실태와
실제로 사무 한국어 사용 상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언어학의 관점에서 학생들은 사무
한국어의 특성과 또는 교육 시스템, 교재 및 관련 참고 자료에 대한 깊이 있게 학습하고
연구한다. 관리학의 관점에서 저자가 노동자의 사무 한국어 사용 능력에 대한 실제 요구를
결정하기 위한 베트남에 한국 기업 관리자의 관점에서 문제를 탐구한다. 그 학제 간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사무 한국어 교육에 대한 요구는 어느정도 필요한지 확정하고 실제로 사무
한국어 교육 및 적용에 대한 학생 및 직원의 인식을 명확히 한다. 본 연구는 실제 조사


11


결과를 베트남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한 바탕으로 사용하고, 베트남의
한국어 교육 실태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더 전문적인 방식으로 베트남에서 사무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을 잡는 단계로 여겨질 수 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연구 대상의 인식과
요구를 탐색하기 위해 4가지 연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첫째, 한국어가 교육과 한국 기업의 실제 요구 사항 간의 차이점은 어느 정도인가?
둘째, 실제로 사무 한국어 적용의 필요성에 대한 베트남인 직원의 생각?
셋째, 사무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조건은 어떤 상황에 있는가? 적용
가능성이 있는가?
넷째, 어떻게 충분히, 프로답게, 베트남에서 한국 기업 환경에 적합한 사무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한가?
첫 번째 질문에 답하기 위해 직장에서 사무 한국어 사용 현황에 대해 전면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한 한국어 가능한 베트남 직장인 외에 한국인에게도 설문 조사한다.
두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저자는 이전 연구 및 관련 문서를 참조할
뿐만 아니라 예비 조사를 통해 그 사실에서 사무 한국어 응용 및 필요성에 대한 연구
대상들의 인식을 확인한다.
세 번째 연구에서는, 사무 한국어 교육 현장과 언어 사용 실태 간의 격차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그래서 교육 프로그램 구축에 대한 모든 조사 대상의 구체적인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문제 조사표와 인터뷰 설문지를 활용했다. 또한 저자도 기업

관리자의 인터뷰 결과를 사용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조건과 가능성을 확정한다.
마지막으로 사무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방안을 모색하고 구축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문제를 언급할 것이다: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는

무엇인가? 사무 한국어를 가르치기 위해 프로그램에 어떤 실제 과제 종류를 넣어야 한가? 그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