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ải bản đầy đủ (.pdf) (100 trang)

Khóa luận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Bạn đang xem bản rút gọn của tài liệu. Xem và tải ngay bản đầy đủ của tài liệu tại đây (1.36 MB, 100 trang )

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  ---------------

졸업논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지도교수: 박지훈
지은이: Vũ Ngọc Ánh
학번: QH2014.F1.K1

하노이, 2018 년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KHOA NGƠN NGỮ VÀ VĂN HĨA HÀN QUỐC
---------------  ---------------

KHĨA LUẬN TỐT NGHIỆP

NGHIÊN CỨU VỀ GIAO TIẾP PHI NGÔN NGỮ
CỦA NGƯỜI HÀN QUỐC DÀNH CHO
ĐỐI TƯỢNG NGƯỜI VIỆT HỌC TIẾNG HÀN

Giáo viên hướng dẫn: T.S Park Ji Hoon
Sinh viên: Vũ Ngọc Ánh
Khóa: QH.2014.F1.K1



HÀ NỘI, 2018


연구윤리 서약서
학 과 명 :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학위과정 : 학사학위논문
학 번 : QH.2014.F1.K1
이름 : Vũ Ngọc Ánh

본인은 하노이국립 외국어 대학교 학생으로서 외국어 대학교의 연구윤리 규정
을 준수하며, 특히 학위논문을 작성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연구윤리의 기본원칙을 준수할
것을 서약합니다.
첫째, 논문을 작성하면서 지도교수의 성실한 지도를 받아 정직하고 엄정한 연구를 수
행하여 학위논문을 작성한다.
둘째, 학위논문의 작성을 위한 연구의 제안, 연구의 수행, 연구결과의 보고 및 발표 등
에서 위조․변조․표절 등 학문적 진실성을 훼손하는 어떤 연구부정행위도 하지
않을 것이며, 연구윤리에 대한 위반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대학위원회의 결정
에 따른다.

2018년 05월 03일
서 약 자:

Vũ Ngọc Ánh (인)


감사의 말
꿈을 안고 2014 년 8 월부터 시작했던 학사 과정, 이제 모든 과제를 마치며
아름다웠던 대학 시간을 되돌아봅니다. 4 년이라는 기간은 다른 사람에게 짧은
시간이지만 저에게 성장의 시간이었고 새로운 체험이 가득한, 진심으로 소중한

삶이었습니다.
먼저 바쁘신 가운데에도 한국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한국말이 서투른 저를
지도해 주신 박지훈 교수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해드리고 싶습니다. 제가 주제를
선택한 때부터 지금까지 거의 6 개월동안 항상 저에게 좋은 조언을 해주셨으며 논문과
관련된 것 외에 많은 훌륭한 지식에 대한 가르침을 주셨습니다. 교수님의 열정과 지도
덕분에 학위과정을 끝까지 마칠 수 있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학사 과정동안 하노이 국립 외국어 대학교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교수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특히 존경하는 Tran Thi Huong 학부장님, La

Thi Thanh Mai 부학부장님, 그리고 저를 직접 가르쳐 주신 모든 교수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그리고 저의 논문 심사를 맡아주시고 소중한 의견을 주시는
교수님들께 깊이 감사한다는 말을 드리고자 합니다.

2014 년 한국어학과에 입학한 이후로 함께하며 항상 곁에서 힘이 되어주신
부모님과 가족, 선배님과 후배님 그리고 친구들께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그리고
졸업논문을 준비하는 하는 과정에서 도와주시고 설문조사에 참가해주신 여러분들께
감사한 마음을 전해드리고 싶습니다. 제가 언급하지 못한 고마운 분들이 너무나
많아서 이름을 모두 새기지 못함을 죄송하게 생각하며 대신에 게 깊은 감사의 말로 이
글을 마치겠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2018 년 05 월
Vũ Ngọc Ánh

i


NGHIÊN CỨU VỀ GIAO TIẾP PHI NGÔN NGỮ CỦA NGƯỜI HÀN QUỐC
DÀNH CHO ĐỐI TƯỢNG NGƯỜI VIỆT HỌC TIẾNG HÀN”
Sinh viên thực hiện: Vũ Ngọc Ánh, Lớp QH.2014.F1.K1
Giáo viên hướng dẫn: TS Park Ji Hoon

Theo quy luật Mehrabian, nội dung của lời nói truyền tải chỉ chiếm 7% trong
giao tiếp cịn các yếu tố phi ngơn ngữ như biểu cảm gương mặt, cử chỉ cơ thể, ánh
mắt,… lại chiếm một tỷ lệ rất cao lên đến hơn 90%. Chính vì vậy, có thể nói giao tiếp
phi ngơn ngữ là yếu tố không thể thiếu giữa giao tiếp người với người. Đặc biệt, mối
quan hệ Việt Nam – Hàn Quốc ngày càng phát triển trên nhiều phương diện. Trong
xu hướng đó, bên cạnh việc dạy tiếng Hàn thì việc đào tạo giao tiếp phi ngôn ngữ
cũng vô cùng quan trọng. Hiểu được tình hình đó, người viết tiến hành tìm hiểu về
những biểu hiện phi ngôn ngữ độc đáo của người Hàn Quốc và thơng qua những biểu
hiện đó, để đối tượng người Việt học tiếng Hàn có thể có một kiến thức chính xác và
vận dụng được vào giao tiếp một cách tự nhiên nhất, người viết đã đưa ra những
phương án dạy và học về giao tiếp phi ngôn ngữ có thể áp dụng trong các mơi trường
đào tạo tiếng Hàn tại Việt Nam. Khóa luận được tóm tắt như sau:
Ở phần I (Mở đầu), người viết đưa ra nội dung về mục đích và tầm quan trọng
của việc tìm hiểu về giao tiếp phi ngơn ngữ của người Hàn Quốc đối với người Việt
học tiếng Hàn, các phương pháp nghiên cứu và liệt kê các cơng trình nghiên cứu, luận
văn tiến sĩ, thạc sĩ của các học giả về chủ đề giao tiếp phi ngôn ngữ. Ở phần Mở đầu,
người viết nhấn mạnh vào nội dung ngoài việc học tiếng Hàn, người học cần tìm hiểu
về các biểu hiện phi ngôn ngữ của người Hàn thường sử dụng. Sau đó, đưa ra cấu
trúc nghiên cứu để người đọc có thể hình dung được các đề mục của các phần. Đây
không phải là một chủ đề mới nhưng chưa có nhiều các cơng trình nghiên cứu về giao
tiếp phi ngôn ngữ của người Hàn dành cho đối tượng người Việt học tiếng Hàn bằng
tiếng Hàn cũng như tiếng Việt.
Ở phần II (Nội dung), người viết tiến hành triển khai một cách cụ thể để người
đọc có những thơng tin chính xác về giao tiếp phi ngơn ngữ. Trong phần Nội dung,
ii


người Viết chia ra thành 3 chương chính. Ở chương 1, người viết trình bày các nội
dung về định nghĩa, các loại hình, đặc trưng, chức năng và đưa ra bối cảnh văn hóa
Hàn Quốc có tác động đến biểu hiện phi ngôn ngữ của người Hàn. Ở chương 2, người

đọc chia biểu hiện phi ngôn ngữ đặc trưng của người Hàn Quốc thành giao tiếp phi
ngôn ngữ theo các bộ phận cơ thể, tình huống và các yếu tố bên ngồi. Khóa luận
khác so với các cơng trình nghiên cứu khác cùng chủ đề ở điểm ngoài việc liệt kê các
biểu hiện theo từng bộ phận đơn thuần thì người viết còn đưa ra các biểu hiện kết hợp
giữa hai hoặc nhiều bộ phận với nhau như tay và đầu, tay và miệng,… Ngoài ra, trong
chương này, người viết cũng nhấn mạnh một hành động phi ngôn ngữ ở quốc gia này
có thể có ý nghĩa khác so với ở nước khác. Ở chương cuối cùng (chương 3), người
viết tiến hành phân tích các yếu tố phi ngơn ngữ xuất hiện trong giáo trình tiếng Hàn
do trường đại học Koryo và KyungHee xuất bản đang được sử dụng giảng dạy tại
Khoa ngơn ngữ và văn hóa Hàn Quốc,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Sau đó, khóa luận đưa ra kết quả từ việc khảo sát 280 người Việt đang theo
học tiếng Hàn tại Việt Nam. Mục đích của bài khảo sát chính là tìm hiểu về mức độ
hiểu biết và các phương pháp học tập về chủ đề này của người học thông qua quá
trình học và tìm hiểu, tiếp xúc với tiếng Hàn và văn hóa người Hàn. Qua những phân
tích giáo trình và khảo sát, người viết trình bày các phương án dạy và học về chủ đề
này. Trong đó có bốn phương pháp chính mà người viết nhấn mạnh là học và dạy qua
việc giao lưu với người Hàn Quốc, thông qua phim ảnh và các phương tiện truyền
thông, thông qua các trang mạng quảng bá về Hàn Quốc và qua các tiết học trên lớp.
Ở phần III (Kết luận), người viết đưa ra kết luận tổng quát nhất về tất cả các
nội dung của khóa luận. Trong xu thế Hàn Quốc đang đầu tư lớn mạnh vào Việt Nam,
việc đào tạo tiếng Hàn cũng như văn hóa tiếng Hàn đối với người Việt đóng vai trị
quan trọng vào việc thúc đẩy mối quan hệ lâu bền giữa hai nước.
Tuy rằng khóa luận cịn nhiều điểm hạn chế, người viết hy vọng kết quả khóa
luận sẽ là tài liệu học tập tốt dành cho các bạn đang theo học tiếng Hàn tại Việt Nam.

iii


논문개요
메라비언의 법칙(The Law of Mehrabian)에 따르면 의사 전달 구성 요소들

중에 말의 내용이 7%만 차지하는 반면 표정, 눈빛, 제스처 등과 같은 비언어적 요소는
차지하는 비율이 무려 90%의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베트남과 한국의 협력 관계는 날이 갈 수록 더욱더 긴밀해져 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하여
베트남인을 위한 한국어를 교육하는 과정은 언어를 가르쳐 주는 것 외에 보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이 함께 진행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인의 독특한 비언어적 행위를
제시하고 이러한 비언어적 요소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인과 보다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이 가능할 수 있도록 비언어적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논문에서 제시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부(서론)에서는 본 논문의 목적 그리고 이 주제의 필요성과 연구 방법 및
선행연구에 대한 내용을 제시한다. 이 부분에서는 베트남인들에게 한국어 및
한국문화 외에 한국인들이 자주 쓰는 비언어적 행위들에 대해 학습하는 것을
강조하는 다음에 눈문의 목차를 공개하여 이 주제에 대한 선행연구를 제시한다. 이
주제는 새로운 주제아니지만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선행연구 관련 베트남에서 한국어로 쓴 것은 많지 않고 베트남어로
쓴 것은 아직 없다.
제 2 부(본론)에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세부적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제 1 장에서는 많은 학자들의 관점으로부터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정의, 유형,
특성 그리고 기능과 같은 개념과 문화간 비언어적 의사소통 및 한국의 문화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한국인들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한 요소들은 다른 나라에 비해
공통점도 있기는 하지만 차이점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은 유교와 함께
‘우리’라는 개념이 강하게 자리잡고 사회와 문화의 계층적 성격 등과 같은 전통적인
문화표현과 서양문화와 교류를 통하여 형성되고 변하게 된 것이다.
iv


제 2 장에서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 및 방식을 신체부위,

상황 그리고 외향의 3 부분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한국인의 대표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 부분에서 다른 선행연구에 비해 손, 다리, 머리 같은 각 신체부위에
따라 제시할 뿐만 아니라 손과 머리를 같이 사용하여 의미를 표현할 수 있는 것도
제시하고자 한다. 비언어적 표현은 한 나라에 좋은 뜻인데 반대로 다른 나라에는
의미가 다른 경우가 많다.
마지막으로 제 3 장에서는 현행 대학교(하노이국립외대) 사용하고 있는 교재에
나타난 비언어적 요소를 분석한다. 그 다음으로 실제 학습자가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 지, 실제 사용되는 교재에서는 어떻게 다루고 있는
지에 대한 확인하는 과정으로써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 대상으로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와 학습 방법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하다.
다양한 일반적인 질문 이외에도 사진을 통한 설문도 수집하여 진행한다. 이러한
설문조사와 교재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그 중에는 한국인들과 교류, 미디어 자료,
홍보자료 그리고 수업을 통한 방안등과 같은 것들은 학습자들에게 언어 외에 여러
가지 지식을 제공할 수 있다.
제 3 부에서는 최종 결론을 제시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중요성 및

한국인의 대표적인 비언어적 표현을 제시하고 교육방안을 모색한다. 그 외에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에는 교사의 역할 뿐 아니라 학습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태도가 요구된다고 생각한다. 또한 교재를 적극 활용하는 방식 뿐만
아니라 한국인과의 교류, 다양한 미디어 자료 활용하는 등의 방식도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비록 부족한 점과 제한적인 부분만 다루었으나 앞으로도
필자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필요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관련된 내용들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많은 고민을 해 나갈 것이다. 또한 연구 내용을 통하여
좋은 지식을 찾을 수 있고 공부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실제로 활용하는 것을
기대된다.


v


목차
감사의 말 ................................................................................................................................ i
논문개요............................................................................................................................... iv
표 목차................................................................................................................................viii
사진 목차.............................................................................................................................. ix
도표 목차.............................................................................................................................. ix
제 1 부: 서론.......................................................................................................................... 1
1.

논문 목적 및 필요성 .................................................................................................. 1

2.

논문의 대상 및 범위 .................................................................................................. 2

3.

논문의 내용 및 방법 .................................................................................................. 2

4.

선행연구..................................................................................................................... 3

제 2 부: 본론 ......................................................................................................................... 5
제 1 장: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개념................................................................................. 5
1.1.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정의 ................................................................................ 5

1.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유형 ................................................................................ 5

1.3.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특성 ................................................................................ 6

1.4.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기능 ................................................................................ 7

1.5.

문화간 비언어적 의사소통 및 한국의 문화적 배경......................................... 7

제 2 장: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실제 ................................................................ 9
2.1.

신체부위별 비언어적 의사소통 ........................................................................ 9

2.1.1.

손에 관한 신체언어 .................................................................................... 9

2.1.2.

머리에 관한 신체언어 .............................................................................. 17


2.1.3.

눈에 관한 신체언어 .................................................................................. 18

2.1.4.

다리에 관한 신체언어 .............................................................................. 19

2.1.5.

얼굴표정 .................................................................................................... 20

2.1.6.

유사언어 .................................................................................................... 21

2.2.

상황별 비언어적 의사소통 .............................................................................. 22

2.2.1.

인사 형태 ................................................................................................... 22

2.2.2.

금기사항 .................................................................................................... 25
vi



2.2.3.
2.3.

시간 및 공간 인식 ..................................................................................... 27

외향별 비언어적 의사소통 .............................................................................. 28

2.3.1.

색깔 ............................................................................................................ 28

2.3.2.

복장 ............................................................................................................ 29

2.3.3.

피부 ............................................................................................................ 30

제 3 장: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위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 방안....................... 32
3.1.

현행 학교에서 사용중인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비언어적 실제 분석 ......... 32

3.1.1.

고려대학교 한국어 교재........................................................................... 32

3.1.2.


경희대학교 한국어 교재........................................................................... 41

3.2.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이해에 대한
설문조사 ...................................................................................................................... 49
3.2.1.

조사의 대상 및 내용 ................................................................................. 49

3.2.2.

조사 결과 분석 .......................................................................................... 50

3.3.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위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방안 ....................... 57

3.3.1.

한국인들과 교류를 통한 교육방안 .......................................................... 57

3.3.2.

미디어를 통한 교육방안........................................................................... 58

3.3.3.

홍보자료를 통한 교육방안....................................................................... 61

3.3.4.


수업을 통한 교육방안 .............................................................................. 61

3.3.5.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시 유의 사항 ..................................................... 63

제 3 부: 결론........................................................................................................................ 66
<참고문헌> ......................................................................................................................... 68
<부록 1> 설문지 ................................................................................................................ 71
<부록 2> 한국인의 비언어적 표현 종합표 ....................................................................... 77

vii


표 목차
<표 1> 여러 나라의 O.K 사인 의미 .................................................................................. 10
<표 2>머리와 관련 비언어적 행위 표현 .......................................................................... 18
<표 3> 눈과 관련 비언어적 행위 표현 ............................................................................. 18
<표 4> 다리와 관련 비언어적 행위 표현 ......................................................................... 19
<표 5> 한국인의 인사문화에 사용되는 의사소통 유형 ................................................. 24
<표 6> 고려대학교 교재의 읽기내용에 나타난 비언어 ................................................. 33
<표 7> 고려대학교 교재의 그림에 나타난 비언어 ......................................................... 33
<표 8> 고려대학교 교재에 나타난 비언어 종합표 ......................................................... 40
<표 9> 경희대학교 교재의 읽기내용에 나타난 비언어 ................................................. 41
<표 10> 경희대학교 교재의 그림에 나타난 비언어 ....................................................... 42
<표 11> 경희대학교 교재에 나타난 비언어 종합표 ....................................................... 48
<표 12 > 설문조사 결과 분석 1 ......................................................................................... 50
<표 13> 설문조사 결과 분석 2 .......................................................................................... 51
<표 14> 설문조사 결과 분석 3 .......................................................................................... 53

<표 15> 설문조사 결과 분석 4 .......................................................................................... 53
<표 16> 설문조사 결과 분석 5 .......................................................................................... 55
<표 17> 설문조사 결과 분석 6 .......................................................................................... 55
<표 18> 설문조사 결과 분석 7 .......................................................................................... 56

viii


사진 목차
<사진 1> O.K 사인 ............................................................................................................. 10
<사진 2> ‘연락해’ 행위 ..................................................................................................... 11
<사진 3> ‘내 마음 속에 저장’ 행위 .................................................................................. 11
<사진 4> 손부채 동작 ........................................................................................................ 12
<사진 5> 하트 세우기 ........................................................................................................ 12
<사진 6> 팔짱 끼기 ............................................................................................................ 13
<사진 7> 손 들기 ................................................................................................................ 14
<사진 8> ‘화이팅’행위 ...................................................................................................... 14
<사진 9> 손가락 욕 ............................................................................................................ 15
<사진 10> ‘조용히’ 행위 ................................................................................................... 17

도표 목차
<도표 1> 설문조사 결과 분석 1 ........................................................................................ 50
<도표 2> 설문조사 결과 분석 2 ........................................................................................ 50
<도표 3> 설문조사 결과 분석 3 ........................................................................................ 54
<도표 4> 설문조사 결과 분석 4 ........................................................................................ 55
<도표 5> 설문조사 결과 분석 5 ........................................................................................ 56

ix



제 1 부: 서론
1. 논문 목적 및 필요성
베트남의 전략적 협력관계의 파트너이자 동반자로서 한국은 1992 년 이후
베트남에서 1 위의 투자국으로서 경제뿐만 아니라 문화 및 생활양식 등과 같은 여러
방면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2000 년대 들어 확산되고 있는 한류가 베트남
현지인 특히 젊은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끼쳐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늘고 있는
추세이며 많은 한국기업들의 진출에 따른 한인의 베트남 진입 및 이주가 크게 늘고
있어 양국간의 정확한 의사소통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의사소통은
일상생활에서 상호이해를 하기 위해 정보를 주고 받는 과정이며 이러한 활동은
문어와 구어와 같은 언어적 수단뿐만 아니라 몸짓과 같은 비언어적 수단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의사소통은 언어행동에 의한 소통과 비언어행동에 의한 소통의 두 가지
형태로 표현된다. 그리고 통계에 따르면 사람들은 언어행동보다 비언어행동을
신뢰한다고 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Non-verbal communication)이란 사람사이에서
대화 시 언어적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요소의 종합이라고 할 수 있다.
메라비언의 법칙(The Law of Mehrabian)1에 따르면 의사 전달 구성 요소들 중에 말의
내용이 7%만 차지하는 반면 표정, 눈빛, 제스처 등과 같은 비언어적 요소는 차지하는
비율이 무려 90%의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2. 이와 같이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적 의사소통 못지않게 사람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 또한 한국어를 공부하는 데 있어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같은 문화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비언어적 표현들을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이지만 외국인에게는
목표 언어의 비언어적 메시지를 학습하지 않고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표현의 잘못된 이해는 서로에 대해 오해와 갈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면 한국인과의
1

“7%-38%-55% Rule”이라고 한다. Albert Mehrabian(1972), “Non verbal Communication”, Aldine-

Atherton

2

/>
1


대화를 보다 잘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사전달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무의식적으로 표현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몸짓(Gestures),
시선 접촉, 한숨이나 투덜거림과 같은 아류언어(Subvocals), 신체 접촉 및 거리감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한 오류를
피하기 위해 개인의 행동양식의 차이 및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요소들을
제외하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가 알아두면 도움이 될 수 있는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 중에서 가장 일상적이고 일반적인 부분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2. 논문의 대상 및 범위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습득했더라도

한국인과의 대화 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말을 자연스럽게 이어가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한국인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비언어적 행위로 인해 청자가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 뿐만 아니라
비언어에 대한 관심을 갖는 사람들도 비언어적 의 사소통의 정의 및 유형 그리고 많은
관련된 부분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특히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해 기본적이고 개괄적인 지식을 제공하여 학습자들이 한국인과의
의사소통과정에서 더 많이, 그리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부분으로부터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인의 비언어적 표현에 대한
학습 방법을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자의적이고 체계적이지 않은 비언어적
표현에 대해 가장 일반적인 의사소통 방식들만 살펴볼 수 밖에 없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발표된 논문 및 자체 조사한 자료 뿐만 아니라 현행 학교에서 사용중인
한국어교재에 대한 분석 및 설문조사를 진행하고자 한다.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하는데 제한이 있어 한국인의 독특한 비언어적 행위만 제시하고
베트남인의 비언어적 표현과 비교 내용을 언급하지만 많지 않은 것이다.
3. 논문의 내용 및 방법
비언어적 의사소통이라는 주제는 완전히 새로운 주제는 아니지만 이 이에
대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자료가 부족하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아서
이 주제를 선택하였다. 앞서 제시한 목적 및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더 넓은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가장 일반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 형식들을
2


제시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행 학교에서 사용중인 교재분석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본 논문의 제 1 부에서는 이 주제의 필요성과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 2 부 본론에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세부적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제

1 장에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정의, 유형, 특성과 기능 등과 같은 개념에 대해
제시하였다. 제 2 장에서는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실제를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제 3 장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3 부에서는 최종 결론을 제시하였다
4. 선행연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선행연구
관련 베트남에서 한국어로 쓴 것은 많지 않고 베트남어로 쓴 것은 아직 없다. 현재까지
한국에서 발표된 논문은 2017 년에 발표된 Nguyễn Thị Hồng 의 석사논문인
“한국인과 베트남인의 신체언어 비교 분석 및 상호문화교육적 개선 방안”이 유일하다.
면담을 통해 나타난 설문 대상자의 이야기를 통해 신체언어의 중요성, 신체언어 학습
필요성, 문화 차이 때문에 생긴 오해나 갈등을 알아보고 상호문화교육적 해결
방안을제시하였으나 연구대상을 신체언어 20 개에 국한하여 진행되었다. 이 외에도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특정지어 진행한 논문이 아닌 일반적인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다.
정영지 (1998)의 한국어와 영어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에서 한국의

비언어를 제시하며 두 나라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고찰하여 상호 이해의 폭을
확대하여 효과적인 영어 학습의 장을 마련하는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조현용(2003)은 비언어적 행위 관련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을 통하여 언어
교육과 비언어적 행위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목록을
선정 함에 있어서 비언어적 행위와의 관련성, 문화 간의 차이 등을 중심으로 네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다.

3


추계자(2005)는 의사소통으로서의 비언어적인 인사 형태에 대하여 분
석하였는데, 인간관계의 가장 기본인 인사를 각 문화권별로 아는 것부터가
의사소통의 시작이라고 주장하였다.
홍민표(1998, 2005)는 한국과 다른 나라의 신체에 대한 관용표현을
연구하였는데, 시선 처리에 있어서 한국은 연령이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였다.
김형순(2011)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 방안
연구”에서 한국어교육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시하고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신체 관련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상황별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대학교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선택하여 문화 항목과신체 관련
비언어의 사례를 찾아보았다.
김경지(2011)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 표현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내용의 하나로, 한국
영화 분석을 통한 비언어적 표현을 체계적으로 교육하여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한국어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서문혜(2014)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의 비언어적 의사 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였다.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 표현 방법을 살펴보고, 중국인의 표현과
비교함으로써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및 한국 생활에 더 쉽게 적응하고
원활한 의사 표현을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곽수옥(2015)의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인의 신체 언어 이해에 관한 연구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들이 각각 이해하고 있는 한국인이 사용하는 신체
언어의 의미를 비교함으로써 실제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
동일하게 한국인의 신체 언어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4


제 2 부: 본론
제 1 장: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개념
인간은 살면서 의사소통을 하고 생활한다. 의사소통을 하는 방법은 다양하고
복잡하지만 일반적으로 언어와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나누어진다.
1.1.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정의

언어적 의사소통은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로 나누고 그것을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하위 영역을 둔다. 많은 학자들이 이러한 언어적 요소 외에 비언어적 요소가
인간생활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혔다.
마크 냅(Mark L. Knapp), 주디스 홀(Judith A. Hall) 3 에 따르면 비언어적
의사소통이란 인간 상호작용에서 언어 이외의 방법을 사용해 이루어지는 모든
커뮤니케이션을 뜻한다. 도드(Dodd, 1982)4는 몸짓이나 시간 또는 공간을 상징으로
하여 의사를 표현하는 의사소통이라고 정의하였고, 골더버(Goldhaber, 1974) 5 는
언어를 제외한 메시지를 비언어적 의사소통이라고 주장하였다.
김영순과 김연화(2007)6에 따르면, 비언어적 요소는 전체 의사소통 과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비언어적인 요소가 문자 그대로 언제나 언어적 의미를 전혀
갖지 않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요컨대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상징적 언어활동 이외 몸짓, 얼굴표정, 손짓과
관련된 신체언어와 시공간이 나타내는 의미, 몸단장에서 표현되는 의미, 말의 억양,
색깔, 복장이 나타내는 의미 등과 같은 비언어 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1.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유형

3

Mark L. Knapp, Judith A. Hall(2014), Nonverbal Communication in Human Interaction”, Eighth edition

4

Carley H. Dodd(1982), “Dynamic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Dubuque, IA : W.C. Brown

5

Gerald M. Goldhaber(1974),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Dubuque, Iowa : W. C. Brown

6

김영순, 김연화(2007), “몸짓 기호와 손짓 언어 : 교사-학생 간 비언어 의사소통 연구”, 한국문화사

5


비언어행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Eisenberg & Smith (1971)7에 따르면
사람은 몸짓만 하더라도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유형이 27 만 가지 이상 있다고 한다.
따라서 비언어행동의 수를 다 살펴본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같은 문화를

공유하고 있는 사회 구성원들이 자주 사용하는 행동에 따른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는 신체부위별 비언어적 의사소통이다. 이는 가장 주의해야 되는
내용이고 많은 학자들은 알아보고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신체언어는 머리, 손,
발등과 같은 몸의 움직임, 얼굴 표정, 눈 맞춤을 포함한다.
두번째는 상황별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상황에 따라 어떻게 행동하거나 뭘 주의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부분이다. 이 유형은 인사형태, 금기사항 그리고 시간 및 공간 인식으로 주로
주장하고 표현하다.
마지막으로 외향에 따른 비언어적 의사소통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복장,
피부 그리고 색깔등과 같은 외향을 통해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을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
1.3.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특성

콘든 (Condon, 1975)8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6 가지 특성이 있다고 밝혔다.
-

언어가 세계의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고 문화 혹은 인종에 따라 다른데
비해서 비언어적 행위는 인간의 보편적이고 자연적이며 학숩되지 않은
행위들을 포함한다.

-

언어가 체계화되어 있는 데 비해서 비언어적 행위들은 체계화되기 어렵거나
체계시킬 수 없다.

-

언어와는 달리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수화에 관한 것을 제회하고는 사전이
없다.


7

Anne M. Eisenberg, Ralph R. Smith(1971), “Noverbal Communication”

8

John C. Condon(1975), “Cutural aspects of nonverbal communication”

6


-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잘 알아든지 못했거나 이해하지 못한 내용을 상대방에게
반복해서 물어볼 수 없다.

-

언어는 자신의 목적을 위해 생각하는 내용을 의도적으로 통제하거나 왜곡해서
전달할 수 있으나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통제하기 어렵다.

-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는 언어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1.4.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기능

노대규(1996) 9 에 따르면 인간의 의사소통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기능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를 들고 있다.
첫째는 정체성을 표현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정체성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외모나 행위을 통해서 자신의
성격, 나이, 인종, 성별, 직업등을 알릴 수 있는 것이며 얼굴 생김새, 체격 또는 목소리
등으로 각 개인이 서로 구별될 수 있는 것이다.
둘째는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친해지기 위해서, 사랑하기 위해서, 회피하기
위해서 비언어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신체 접촉, 개인의 공간 이용, 상대방에
대한 응시와 같은 접근과 회피 행위는 다른 이들과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해당한다.
셋째는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몸, 얼굴, 눈 등을 통해서 정서
상태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몸은 사람의 기분이나 감정을 나타내는 한편
얼굴, 특히 눈은 구제적인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마지막 기능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비언어의 정보전달 기능은 몇 가지가
있다. 일단, 비언어는 우리가 말로 표현한 것을 반복한다. 다음에 비언어 행위가 언어
메시지를 수정하거나 확대하여 전체 의미를 명확하게 한다. 그리고 비언어 행위는
언어 메시지가 담고 있는 반대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한 모순된 행위는 의도적일
수도 있고 비의도적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비언어 코드는 언어 메시지의 일부분을
보충하는 기능을 한다.
1.5.

9

문화간 비언어적 의사소통 및 한국의 문화적 배경

노대규(1996),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 표현 행위화 그 의미”

7



E. Hall(1973) 10 은 “문화는 의사소통이고 의사소통은 문화이다”라고 하며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그 나라의 올바른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을 해야 되는지에 대한 이해,
제 2 문화와 그 국민에 대한 감정이입과 같은 공감대 형성에 있어 전형적인 가치와
태도 등이 가미된 실제적 행동인 생활양식문화(way-of-life-culture)는 대화형식이나
동작과 같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나타난다. 언어적 의사소통이 일반적인 정보
전달에 효과적인 반면 비언어는 인간의 감정이나 느낌까지 전달하는 메시지 전달이
보다 용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나라의 문화는 그 나라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표현된다고 할 수 있다.
한국문화의 경우 유교와 함께 ‘개인’이 아닌 ‘우리’라는 개념이 강하게
자리잡아 상대에 대한 배려와 포옹의 태도 및 겸손과 겸양의 표현이 인사, 거절,
식사예절 등 일상생활의 행동에서 나타난다. 또한 한국에서는 사회와 문화의 계층적
성격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상대적인 힘이 대인 관계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사회적
권력, 혈연 관계, 성별, 지위, 직업, 연령과 같은 사회 문화적 요소가 의사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11

(Song, 2014). 이런한 전통적인 문화표현과 함께 한국에는

서양문화와의 접촉을 통한 적극적인 자기표현이 공존한다. 이러한 복합적인 문화는
반도라는 지리적 조건, 수많은 굴곡을 지나온 역사, 제도 등을 통해 형성된
한민족이라는 집단의 공동된 가치관과 세계관에 따라 독특한 특성으로 표현된다.

10

E. Hall(1973), The silent Language, Anchor
Song, Sooho(2014), Politeness in Korea and America: A comparative Analysis of Request Strategy in English
Communication, Korea Joural.


11

8


제 2 장: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실제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한 자세한 논의를 하기 위해 본 논문은
학자들이 실시한 연구와 조사의 결과 및 직접 경험한 체험을 통해 수집한 한국인의
대표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다른 나라와 유사한 점도 있지만 주의해야 할 점도 많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유형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그 중에 특히 한국인들이 자주 쓰는
행위를 신체부위, 상황 그리고 외향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2.1.

신체부위별 비언어적 의사소통

몸짓은 생각, 의도와 느낌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신체, 또는 신체의 일부분의
움직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몸짓은 손의 움직임을 의미하지만 발과 머리의 움직임
및 눈짓, 얼굴표정 그리고 목소리의 어조도 포함되는데 한국인들도 신체부위를 많이
사용한다. 조사의 결과 그리고 교재 분석에 따르면 신체부위별 비언어 행위의
빈도에는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장 많이 나타나는 행위가 학습자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음으로 사용빈도에 따라 제시하고자 한다.
2.1.1. 손에 관한 신체언어
손짓 언어는 손짓 행위에 언어적 메시지가 함축되어 의사소통 기능을 수행하
는 손의 움직임을 뜻한다. 김형순 (2011)12이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손짓
언어는 한국인들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이다. 그 이유로서 한국인
의 손짓에 대해 먼저 소개해보고자 한다.
2.1.1.1.

손만 이용한 표현


가. O.K 사인
엄지와 집게손가락을 둥글게 말아 동그라미를 만드는 O.K 사인은 정밀성을
나타내는 손의 형태에서 유래했다.

12

김형순(2011),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 방안 연구”

9


<사진 1> O.K 사인
서양 뿐만 아니라 동양 사람들도 이런 사인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 사인의
의미는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있다.
-

공통점: 동의하거나 좋다, 일이 잘 됐다라는 의미를 표시할 때 이 사인을 사용한다.

-

차이점: 한국인들은 돈이라는 의미로 O.K 사인을 사용한다. 그것은 엽전으로부터
유래되어 내려 온 관습인 듯하다. 그러나 여러 나라에서 이 사인의 의미가 완전히
다르다. 다음 표가 여러 나라의 O.K사인 의미를 표시한다.
<표 1> 여러 나라의 O.K 사인 의미
어순

나라

의미


1.

한국

돈, 좋다, 일이 잘 됐다

2.

베트남

동의하다

3.

독일

개자식

4.

미국

훌륭하다, 좋다, 잘했다

5.

북유럽

목요일


이 표를 통하여 보여지는 것처럼 이 사인은 많이 나라에서 사용되지만
부분적인 상이점을 보이고 있다. 이런 차이로 인하여 문화 충격이나 때로 오해가 생길
수 있는 것이다.

10


나. ‘연락해’ 행위
한국인의
몸짓을

사용하여

요구

동작은

대부분

이루어진다.

형태로

보자면 행위의 목적을 위한 대상물의
모양을 그대로 만든 모방 동작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사진2
새끼손가락(보통

입과


13

처럼 엄지와

귀에)을

대어

전화기를 묘사한 동작은 한국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사진 2> ‘연락해’ 행위

다. ‘내 마음 속에 저장’ 행위

이 말과 두 손을 카메라 모양으로 만드는 행위는

Wanna One의 멤버 박지훈이 만든 유행어이고 인기가
많은 비언어적 행위이다. 캐릭캐릭 체인지에서 나온
"나의

마음을

언록~!"이

원조인

것으로


보이며

지금까지도 유행하고 있다.

<사진 3> ‘내 마음 속에
저장’ 행위
라. 손부채 동작
펼친 손바닥을 펼친 손가락을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을 ‘손부채’ 라 한다. 이
동작은 누군가를 배웅하거나 인사할 때 혹은 호출 신호로 사용지만 손바닥의 방향에
따라 의미가 완전히 달라진다. 사진414와 같이 한국에서 이 동작(손바닥이 아래로)은

13

/> />
14

11


앞뒤로 하면 “이리 와” 라는
의미로

표현하는데

방향을

반대로 하면 “꺼져”라는 뜻이
된다.

보통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또는

친구사이에

사용하는

동작이다. 반대로 이 동작은
손바닥을 위로 하면 강아지를
부르는 행위이다.
또한
또는

검지와

한국에서

검지

중지를

위로

<사진 4> 손부채 동작

앞뒤로 하는 행위는 ‘이리와’라는 뜻을 표현하는데 이 동작은 윗사람은 아랫사람에게

사용하는 행위이고 보통 기분이 나쁠 때 쓰는 것이다.
마. 하트 세우기
사랑한다는 한국적 손짓은 최근 들어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것으로
독특한 손짓으로 자신의 두 손으로 가슴 부위에 하트모양을 만들거나 양팔을 머리
위로 올려 하트 모양을 만든다. 또는 엄지와 검지를 교차해 만들기도 하는데
해외에서는 Korean Finger Heart라고 부르기도 한다.

<사진 5-1>손가락
하트

<사진 5-2>두 손으로 가슴
부위에 하트

<사진 5> 하트 세우기
12

<사진 5-3>양팔을 머리
위로 올려 하트


손가락 하트의 원조는 버즈의 민경훈이라는 얘기가 있다. 2004년경 민경훈이
손가락 하트를 하고 있는 장면이 찍힌 사진이 있는데 민경훈 본인은 몰랐던
얘기였지만 팬의 제보로 알게 되었다15. 언어와 마찬가지로 비언어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 생성하기도 한다. 이 행위는 한국인 젊은이들 특히 아이돌이 팬들에게
사랑을 표현하는 것 뿐만 아니라 나이가 많은 사람들 뿐만 아니라 외국인들에게도
인기가 많다.
바. 팔짱 끼기
한국 사람들은 대화 중에 스스로 양팔을 끼는 행위(사진616)를 하는데 세가지
의미가 있다. 가슴에 앞에 팔짱을 끼는 행동은 부정하거나 상대방을 무시한다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다. 반대로 베트남에서는 팔짱을 끼면서 허리를 굽히는 것이 예의를

표현하는 것이 된다. 18,19세기부터 베트남 학생들이 선생님의 집에 가서 글자를 배울
때 항상 팔짱을 끼면서 인사를 한다. 감사할 때나 사과할 때도 이 행동을 하기도 한다.

<사진 6-1> 한국인의

<사진 6-2>베트남인의

팔짱 끼기 모습

팔짱 끼기 모습

<사진 6> 팔짱 끼기
또한 한 손으로 다른 팔 위 부분을 잡는 행위는 긴장하거나 자신이 부족할 때
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이러한 행위는 춥다는 의미가 된다.

15
16

i/w/%EC%86%90%EA%B0%80%EB%9D%BD%20%ED%95%98%ED%8A%B8
/>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