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 및 한국문화학부
----------------------
졸업논문
한국 – 베트남의 성(性)숭배 문화 비교
지도교수: Th.S Nguyen Thuy Duong
하노이, 2018
지은이
: Hoang Anh Duong
학반
: QH.2014.F.1.K1
ĐẠI HỌC QUỐC GIA HÀ NỘI
TRƯỜNG ĐẠI HỌC NGOẠI NGỮ
KHOA NGƠN NGỮ & VĂN HĨA HÀN QUỐC
---------------------------------------
KHỐ LUẬN TỐT NGHIỆP
SO SÁNH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HÀN QUỐC – VIỆT NAM
Giáo viên hướng dẫn: Th.S Nguyễn Thùy Dương
Sinh viên
: Hồng Ánh Dương
Khố
: QH.2014.F.1.K1
HÀ NỘI – NĂM 2018
연구윤리 서약서
본인은 하노이 국립 대학교 – 외국어 대학 학생으로서 본 졸업논문 작성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윤리 기본 원칙의 준수를 서약하고 이를 지켰음을 확인합니다.
첫째, 지도교수의 지도에 따라 정직하고 엄정하게 연구를 수행하여 졸업논문을
작성합니다.
둘째, 논문 작성 시 타 논문 또는 타 참고문헌의 위조, 변조, 표절, 중복게재 등
학문적 진실성을 훼손하는 어떤 연구부정행위도 하지 않았다. 다른 연구자의 학술
자료를 이용한 경우에는 출처를 명확히 밝혔습니다.
셋째, 연구윤리를 준수하지 않아 모든 문제가 발생하거나 위반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본인은 모든 책임을 감수하겠습니다.
2018 년 05 월
Hoang Anh Duong
감사의 말씀
2014 년 8 월에 하노이 국립 외국어 대학교에서의 학생이 정식적으로 되었는데
어느새 4 년이 거의 지나서 저는 곧 졸업하게 될 겁니다. 지난 4 년의 대학 시절 동안
저에게 도움을 주신 분들이 많습니다. 부족함이 아직 많은 저는 졸업 논문을 마치면서
그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한국어 및 한국 문화 학부의 선생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선생님들
덕분에 한국어 및 한국 문화를 많이 배우게 되었습니다. 그외에도 학생들에게 언제나
챙겨주시던 선생님들은 사회 경험도 많이 전해 주셨습니다. 정성껏 가르쳐 주신
선생님들 덕분에 저는 외대에서 날로 성장하지며 지금은 곧 졸업하게 될 겁니다.
누구보다도 많은 도움을 주시고, 부족한 점을 언제나 세심하고 꼼꼼한 손길로
지적해주신 Nguyen Thuy Duong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따뜻한 격려와 조언을 해주신 교수님께 감사의 마음을 어떻게 표현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늘 곁에서 큰 힘이 되어 주신 가족들에게도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저를
변함없이 믿고 조건없이 지원해 주시는 가족들은 하는 일이 잘 되기를 빌며, 살아가면서
항상 같이 있었으면 합니다.
마지막으로 대학 무렵에 서로 도와 주신 친구들, 선.후배들에게도 큰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기쁨도 슬픔도 같이 나누어 지난 4 년에는 잊을 수 없는 추억이
가득하게 되었습니다. 여러분은 인생에 웃음으로 가득하시기를 바랍니다.
2018 년 05 월
Hoang Anh Duong
i
SO SÁNH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HÀN QUỐC – VIỆT NAM
Sinh viên thực hiện: Hoàng Ánh Dương, Lớp QH.2014.F.1.K1
Giáo viên hướng dẫn: Th.S Nguyễn Thùy Dương
‘Tín ngưỡng phồn thực(성숭배 문화)’là một bộ phận quan trọng của văn
hóa các quốc gia. Biểu hiện của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được tìm thấy từ phương
Đông sang phương Tây, từ thời xã hội nguyên thủy cho đến hiện tại. Thông qua
việc khái quát và đối chiếu những quan điểm về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của các
học giả, người viết sử dụng khái niệm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hay ‘Văn hóa
phồn thực’ trong khóa luận như sau.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xuất hiện từ thời
nguyên thủy, là niềm tin của cư dân vào những thứ siêu nhiên với khát vọng sinh
sôi nảy nở của con người và vạn vật. Đối tượng tơn thờ của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là sinh thực khí và hành vi giao phối, được thể hiện một cách đa dạng thông qua
các di vật, di tích cũng như các nghi thức, trị diễn dân gian.
Trong ‘phần I – Mở đầu’, người viết làm rõ lí do, mục đích lựa chọn đề tài,
nhiệm vụ, phạm vi nghiên cứu cũng như rà soát các nghiên cứu đã cơng bố có
liên quan đến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Trong ‘phần II – Nội dung’, người viết chia
nội dung nghiên cứu thành 3 chương và kết quả nghiên cứu có thể được tóm lược
như sau.
Trong chương 1 – ‘Khái quát về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người viết đã làm
rõ được khái niệm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Bên cạnh đó người viết cũng phân biệt
được khái niệm ‘tín ngưỡng(숭배)’ với ‘tơn giáo(종교)’ để giải thích vì sao
khơng thể coi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như một hình thức tơn giáo. Bên cạnh đó,
chương 1 cũng đã giải thích được nguồn gốc, ý nghĩa, đối tượng cũng như biểu
hiện của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trên thế giới.
ii
Trong chương 2 – “Đặc trưng của văn hóa phồn thực Hàn Quốc – Việt
Nam’, người viết đã tổng hợp và phân tích những biểu hiện đặc trưng nhất của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ở hai quốc gia. Ở mỗi quốc gia, người viết lại chia ra 2 phần là
biểu hiện hữu hình và biểu hiện vơ hình để người đọc có cái nhìn cụ thể hơn. Sự
biểu hiện đa dạng và sống động của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đã giúp người đọc hiểu
thêm về quan điểm của người xưa.
Chương 3 – ‘So sánh văn hóa phồn thực của Hàn Quốc – Việt Nam’ là
chương quan trọng nhất của khóa luận. Người viết lần lượt đối chiếu, so sánh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của hai quốc gia ở quá khứ, hiện tại và thông qua những biểu
hiện ở hiện tại, người viết có đề xuất một số giải pháp để bảo vệ và phát triển nét
đẹp văn hóa này trong tương lai. Khi đối chiếu văn hóa phồn thực ở thời kì truyền
thống, bằng cách rà soát các nghiên cứu đi trước và thống kê lại các biểu hiện
phồn thực của hai nước, người viết không những đưa ra được sự giống nhau và
khác nhau của hai nền văn hóa mà cịn giải thích được tại sao lại tồn tại sự tương
đồng và khác biệt như vậy. Ở thời hiện tại, văn hóa phồn thực đang được đón
nhận như thế nào và nó có đóng góp gì trong q trình phát triển kinh tế cũng
được đề cập và đi sâu. Từ hiện thực đó, người viết có đưa ra một số giải pháp với
hy vọng văn hóa phồn thực sẽ trở nên gần gũi hơn trong cuộc sống.
Khóa luận vẫn cịn tồn tại ít nhiều hạn chế do kinh nghiệm thực tiễn, kinh
nghiệm nghiên cứu và hiểu biết của người viết còn mỏng, các nghiên cứu liên
quan đến việc đối chiếu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lại ít ỏi. Tuy nhiên chúng tơi hy
vọng, khóa luận sẽ tài liệu tham khảo hữu ích cho các độc giả có sự quan tâm đến
văn hóa truyền thống của hai nước nói chung và văn hóa phồn thực nói riêng.
iii
논문개요
‘성숭배 문화’는 문화의 한 부분이며 나라들의 역사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왔다. 성숭배 문화는 하나 또는 여러 나라에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동양에서
서양까지, 원시대부터 현시대까지 표현이 발견되었다. 학자들의 성숭배 문화에
대한 관점을 개괄하며 대조한 후 필자는 다음과 같이 본 논문에 언급한 ‘성숭배
문화’의 정의를 제시해 보았다. 성숭배 문화는 원시대부터 생겨 주민들이 인간을
비롯한 만물의 번식 목적으로 초연적인 것을 믿어 중요시하는 것이다. 성숭배의
대상은 생식기 및 성교행위다. 유적.유물 또는 민간 제의.놀이를 통하여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 I 부 – ‘서론’에서는 연구 주제 선정의 이유 및 목적, 연구
임무, 방법을 밝히며 성숭배 문화에 관련된 선행연구도 검토해 보았다.
제 II 부 – ‘본론’에서는 연구의 내용을 3 장으로 나누어 다루고 각장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제시할 수 있다.
제 1 장 ‘성숭배 문화에 대한 개괄’에서는 성숭배 문화의 정의를 자세히
보았다. 게다가 ‘숭배’와 ‘종교’를 대조하여 왜 성문화는 ‘숭배’라고 할 수 있는데
‘종교’라고 할 수 없는지 잘 설명하였다. 그리고 제 1 장은 성문화의 기원, 역할,
대상과 전세계에서의 대표적인 표현도 제시하였다.
제2장 – ‘한국과 베트남의 성숭배 문화 특징’에서는 필자는 양국에서의
가장 대표적인 표현을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독자가 구체적인 시각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국은 유형 대상물 및 무형 대상물을 2 부분으로 나누었다. 믿음직한
참고문헌을 종합함으로써 제 2장은 성숭배과 관련된 유적.유물, 전설, 연희 또는
축제 따위의 특징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생식기 암석의 형태, 기원, 의미 또는 민간
이야기의 성숭배 장면 또는 성숭배의 전통놀이, 제의의 시간과 방법까지 꼼꼼하게
iv
묘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성숭배 문화는 어떻게 다양하고 생생하게 표현했는지
또한 원시인의 사고방식이 무엇인지 이해하게 되었다.
제 3 장 – ‘한국 – 베트남의 성숭배 문화 비교’는 본 논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필자는 한 – 베 양국의 성문화를 과거와 현재의 순으로 비교하며 현재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미래에는 아름다운 이 문화를 보호하고 개발할 방법을 여러
가지 제시해 보았다. 전통 시대의 특징을 비교할 때 필자는 선행문헌을 검토하여
다시 통계함으로써 양국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내세울 뿐만 아니라 원인까지도
자세히 설명하였다. 현시대의 특징을 비교하는 경우에는 사람들은 성숭배 문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국가의 경제가 발전하는 데에 성문화의 기여가
무엇인지 언급하여 깊이 분석하였다. 그리고 보호와 개발 방법 여러 가지를
제시해 봤으니 성숭배 문화는 인간 생활에 날로 가까워지기를 바란다.
지식, 실제 경험과 연구 경험이 많이 부족한 필자 및 성숭배 문화의 비교에
대한 선행연구의 드묾 때문에 본 논문에는 한계점이 다소 있겠다. 그렇지만
독자들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한국 – 베트남 성숭배 문화, 크게 보면 전통문화를
더 파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v
목차
논문개요.................................................................................................................................... iii
목차............................................................................................................................................ vi
표차례 및 그림 목차 ............................................................................................................... viii
제 I 부. 서론 ............................................................................................................................... 1
1. 연구 주제 선정의 이유 및 목적 ....................................................................................... 1
2. 선행연구 검토 ................................................................................................................... 2
3. 연구 임무 및 연구 방법 .................................................................................................... 4
4. 논문의 틀 ........................................................................................................................... 5
제 II 부. 본론 .............................................................................................................................. 6
제 1 장. 성숭배 문화에 대한 개괄 ............................................................................................ 6
1.1. 성숭배 문화와 관련된 개념 .......................................................................................... 6
1.2. 성숭배 문화의 기원과 역할 .......................................................................................... 7
1.3. 성숭배 문화의 대상 ....................................................................................................... 8
1.4. 성숭배 문화의 표현 ....................................................................................................... 9
제 2 장. 한국과 베트남의 성숭배 문화 특징 .......................................................................... 11
2.1. 한국의 성숭배 문화 특징 ............................................................................................ 11
2.1.1. 유형 대상물로 표현하는 성숭배 .......................................................................... 11
2.1.2. 무형 대상물로 표현하는 성숭배 .......................................................................... 16
2.2. 베트남의 성숭배 문화 특징 ........................................................................................ 20
vi
2.2.1. 유형 대상물로 표현하는 성숭배 .......................................................................... 20
2.2.2. 무형 대상물로 표현하는 성숭배 .......................................................................... 23
제 3 장. 한국 – 베트남의 성숭배 문화 비교 ........................................................................... 28
3.1. 전통 시대의 한 – 베 성숭배 문화 비교 ...................................................................... 28
3.1.1. 유사점 ..................................................................................................................... 28
3.1.2. 차이점 ..................................................................................................................... 31
3.2. 현시대의 한 – 베 성숭배 문화 비교 ........................................................................... 42
3.2.1. 사회문화적 가치 .................................................................................................... 42
3.2.2. 관광 발전에 기여 ................................................................................................... 44
3.3. 한 – 베 성숭배 문화 보호 및 개발 .............................................................................. 47
3.3.1. 성숭배 문화 보호 및 개발 원인 ............................................................................ 47
3.3.2. 성숭배 문화 보호 및 개발 방법 제시 (베트남을 중심하여) ............................. 48
제 III 부. 결론 .......................................................................................................................... 50
참고문헌................................................................................................................................... 52
vii
표차례 및 그림 목차
<표 1> 한국에서의 지역별 성숭배 문화의 표현 .................................................................. 31
<표 2> 베트남에서의 지역별 성숭배 문화의 표현 .............................................................. 35
<그림 1> 한 – 베 성숭배 문화 표현의 유형 비교표 ............................................................. 38
<그림 2> 한 – 베 성숭배 문화의 유물 비교 .......................................................................... 39
viii
제 I 부. 서론
1. 연구 주제 선정의 이유 및 목적
1992 년에 한국과 베트남은 외교 관계를 맺었을 때부터 지금까지 양국의 외교
관계는 25 년 이상이 되었다. 양국의 외교 관계를 바탕으로 지난 25 년 지나면서 한국과
베트남은 다양한 분야에서 우호 협력과 교류를 함으로써 양국의 사이는 날로 친해지고
긴밀해진다. 바로 정치, 문화, 교육, 경제 등과 같은 대표적 분야다. 따라서 베트남어를
배우는 한국인 및 한국어를 배우는 베트남인이 급증하고 있다. 유학, 근무, 취미 등인
목적으로 외국어를 배우는 것이 좋은데 외국어만 배우면 충분하지 않다. 언어는 문화와
같이 항상 나란히 걷기 때문에 외국어를 배우면 해당 문화와 사고도 배워야 한다.
상대방의 문화를 잘 이해할 때 외국친구를 쉽게 사귈 뿐만 아니라 그 나라에 삶을 살
기회가 있으면 잘 지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인들과 베트남인들이 서로 언어 및
문화에 관심을 많이 갖는 현황에는 양국 문화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가리키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본다.
한국과 베트남 둘은 다 오래된 문화를 가지고 있는 나라다. 옛날부터 다양한
문화가 발원하여 지금까지 유지해 오고 있다. 성숭배 문화는 그 다양한 문화 중에
하나다. 특히 원시인들에게는 큰 의미를 가지는 중요한 문화였다. 베트남에서도
한국에서도 성숭배 문화의 표현은 매우 뚜렷하다. 그런데 비록 이 문화에 대해 연구한
학자들이 많은데도 대중에게 알려 주는 프로크램이 거의 없다. 심지어 문화 이해
수업에도 성문화가 거의 언급되지 않는 상황이다.
자기 나라의 성숭배 문화를 언급하기가 찜찜하니 다른 나라의 것을 소개하지
않는다는 현실은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이유는 매우 민감한 영역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한국 – 베트남 성숭배 문화의 비교라는 주제를 깊게 연구한 사람이
아직도 드물다. 특히 한국어로 작성한 작품을 찾을래야 찾을 수 없었다. 지금은 전문가
또는 문화를 선호하는 사람밖에 대부분 사람들은 성숭배 문화를 잘 모르는 현황이다.
특별한 성숭배는 타 전통문화만큼 관심을 많이 받았으면 한다.
1
2. 선행연구 검토
성숭배 문화는 여러 가지 타 문화와 함께 한국 역사와 베트남 역사 흐름속에서
존재하고 발전하였다. 오래된 문화라서 학자들은 자기 나라의 성문화를 많이
연구하였다.
한국 경우에는 성숭배 문화에 대한 대표적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바로 문화재연구소의 학술용욕조사 보고서 (1994) ‘韩国의 性文化研究/한국의 성문화
연구’, 차장섭 (2009) ‘우리나라의 성문화’이다. 그외에도 지역별 성숭배 문화, 시대별
성숭배 문화, 역사시대의 성 (한국콘텐츠진흥원)1이라는 기사들은 성숭배 유형, 특징 및
관련된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 연구들은 한국의 성문화를 총결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믿음직한
출처들로
한국의
성숭배
문화를
알아보았으며 베트남과 비교.대조하는 데에 바탕이 되었다.
베트남 경우에도 성숭배 문화에 대해 연구한 학자들이 많다. 베트남 문화에 대한
소개하는 책에다가 Trần Quốc Vượng, Trần Ngọc Thêm, Mai Ngọc Chừ 따위의
교수님들은 문화학에서의 일인자로서 성숭배 문화를 작성하였다. Trần Ngọc Thêm
‘Tìm về bản sắc văn hóa Việt Nam/베트남 문화의 특색으로 찾아온다 (1996) 및 ‘Cơ sở
văn hoá Việt Nam/베트남 문화의 기초’(2000), Trần Quốc Vượng (2006) ‘Cơ sở văn hoá
Việt Nam/베트남 문화의 기초’ 2 , Mai Ngọc Chừ (2008) ‘Giới thiệu Văn hóa phương
Đông/동양 문화 소개’라는 책에서는 성문화에 대한 지식을 제공한다. 그외에도 다른
작가들도 이 주제에 관심을 가져 작성하였다. Vũ Anh Tú (2008)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Việt Nam trong dịng chảy văn hóa Đơng Nam Á qua các lễ hội nông nghiệp/농업의 축제를
통한 동남 아시아의 문화 흐름속에 베트남 성숭배 문화’ 또는 웹사이트거를 통하여
관려된 내용을 소개하는 타 작가도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베트남 성숭배 문화를
전면적이고 구체적으로 연구하는 작품을 아직도 찾지 못하였다. 이상의 선언연구는
1
Korea Culture and Content Agency (KOCCA).
2
Trần Quốc Vượng 및 Trần Ngọc Thêm 두 연구자는 다른 두 책을 작성하였는데 제목은 ‘베트남 문화의
기초’로 똑같다.
2
문화책에서 작은 일부를 차지하거나 짧은 용량으로 과학적 연구일 뿐이다. 따라서 아주
대표적 표현이나 어느한 측면만 따로 언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연구들이 비록 적지 않은데도 그것들은 작가의 나라 성숭배
문화를 분석하는 것뿐이다. 필자가 참고문헌을 찾던 과정에는 이무리 끊임없이
찾았더라도 ‘한국과 베트남의 성숭배 문화 비교’와 관련된 연구를 거의 찾을 수 없었다.
한국의 성문화를 연구하는 베트남학자는 물론이고 베트남의 성문화를 연구하는
한국학자도 매우 드물다.
사실은 성숭배 문화는 다른 오래된 문화에 비해 훨씬 더 민감하다고 여겨져서
한국에서든 베트남에서든 주민들에게 홍보되는 것이 약하다. 자기 나라에서는 성숭배
문화를 언급하기가 수줍어서 외국의 성숭배 문화를 알아보고 비교.대조하는 것이 거의
없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 베 전통문화를 대조하는 작품이 매우 많은 반면에 양국의 성숭배
문화를 비교하는 작품이 가뭄에 콩 나듯 한다. 베트남 성숭배 문화를 연구한
한국학자는 지금까지 아직도 없다. 한국의 국립도서관과 대학교들 도서관의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찾아 보았는데 베트남 성문화와 관련된 연구가 하나도 안 나왔다.
베트남에서는 한국 성숭배 문화를 소개한 연구 수량은 몹시 적지만 두개를
찾아냈다. 두 문헌은 바로 Cao Thế Trình (2009) ‘Tìm hiểu dấu tích văn hóa phồn thực ở
người Hàn/한국인의 성숭배 문화 흔적의 이해’; Nguyễn Thị Hạnh - Nguyễn Thị Hiền Nguyễn Thị Thanh Nga - Nguyễn Thị Thơm (2015) ‘Bước đầu nghiên cứu về tín ngưỡng
phồn thực Hàn Quốc/한국의 성숭배 문화에 대한 기초연구’다. 그런데 이 두 과학적
연구는 짧은 용량으로 한국 성숭배 문화의 가장 대표적 특징에만 집중했으며 베트남의
성숭배 문화의 비교를 조금만 언급하였다. 게다가 베트남 독자를 대상으로 베트남어로
작성하였다. 그러므로 한국독자들은 양국의 성문화 비교 부분을 읽고 싶어한다면
어려울 것이다. 또한 비교 부분을 매우 간략하게 제시했으므로 구체성이 떨어지게 되어
독자에게 포괄적 시선을 제공하기 어렵다고 본다.
3
본 논문은 이상의 근거로 한국과 베트남의 성숭배 문화에 대해 연구된 것다.
양국 성숭배 문화의 유사점 및 차이점에 대한 처음으로 정식적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양국의 성문화 비교에 집중하게 분석함으로써 독자에게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시선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한국어로 작성되기 때문에 베트남 전통문화에 흥미있는
한국인에게 유익하기를 기대된다.
3. 연구 임무 및 연구 방법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베트남 성숭배 문화의 특징을 설명하기도 하고 양국
성문화를 비교.대조하는 초점도 맞춘다. 양국 성문화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제시하고
분석하여 독자들이 깊게 이해할 수 있는 목적을 가진다.
본 논문의 연구 임무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한국과 베트남 성숭배 문화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 임무를 이루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종합하면서 본인의 지식을 활용하여 작성한다. 이 부분에는 매우
구체적으로 분석하지 않으며 대표적인 표현에만 집중한다. 왜냐하면 선행작품들은
각국의 성숭배 문화의 표현을 잘 분석했기 때문이다.
둘째는 한 – 베 성문화의 유사점 – 차이점을 밝힌 것이다. 한 – 베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다시 통계함으로써 측면 각각을 자세히 비교.대조하여 유사점 및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밝힌다. 그것의 원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할 것이다. 이는 바로
본고에서 가장 중요한 임무다.
셋째는 본교를 통하여 한 – 베 두 나라에는 성숭배는 다른 오래된 문화 못지않게
중요한 문화라고 결정함으로써 관심을 많이 더 받기를 바란다. 아름다운 성숭배 문화를
보호하고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긴급하라고 본다. 따라서 필자는 성문화 보호 및
개발 방법을 여러 가지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연구 임무를 잘 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연구 방법을 결합하여
적용한다. 첫째는 한국과 베트남의 성문화를 개괄한 것이다. 그 다음은 양국의 성문화
4
특징을 비교하여 양국 간에 유사점 및 차이점을 도출하여 제시한다. 이렇듯 본
연구에서 선행 연구의 고찰, 분석, 통계, 종합 등과 같은 수법은 물론이고 기술 방법,
대조.비교 방법까지도 적용되었다.
4. 논문의 틀
본 논문에서 서론, 결론, 참고 문헌을 제외한, 제 II 부 – 본론에서는 연구 내용을
3 장으로 나누어 제 3 장 – ‘한국 – 베트남의 성숭배 문화 비교’를 중심으로 다룬다. 각
장의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은 성숭배 문화에 대한 개괄이다. 한국과 베트남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의 성숭배 문화의 대표적인 특징을 밝힌 것이다.
제 2 장에는 ‘한국의 성숭배 문화 특징’ 및 ‘베트남의 성숭배 문화 특징’을 이렇게
두 부분으로 나눈다. 각 부분에는 그 나라의 특징들을 분석함으로써 재미있는 지식을
많이 제공한다.
제 3 장은 본 논문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한국 – 베트남 양국 간에 성숭배
문화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분석하여 도출한 것이다. 또한 미래에는 한 – 베 성숭배
문화가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 성숭배 문화를 어떻게 보호하고 개발시킬 수 있는지
논의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상에서 제시한 내용을 철저히 해결함으로써 독자들이 양국의
성문화 특징뿐만 아니라 유사점 및 차이점도 잘 파악할 수 있는 것을 기대한다. 양국의
전통문화에 관심이 많은 사람에게도 유익한 참고문헌이 되기를 바란다.
5
제 II 부. 본론
제 1 장. 성숭배 문화에 대한 개괄
1.1. 성숭배 문화와 관련된 개념
‘숭배’란 우러러 공경하는 말이다. ‘숭배’의 유의어는 신앙, 공경, 숭상, 신심,
믿음 등을 비롯한다. 국어사전에 따르면 ‘성숭배’란 ‘남녀의 생식기 또는 생식과
관계있는 신을 신앙의 대상으로 받드는 일. 인도의 원시 종교에서 찾아볼 수 있다.’라고
말한다.
여기에서 ‘원시 종교’라는 개념이 언급된다. ‘종교’는 신이나 초자연적인 절대자
또는 힘에 대한 믿음을 통하여 인간 생활의 고뇌를 해결하고 삶의 궁극적인 의미를
추구하는 문화 체계를 말한다. ‘숭배’와 ‘종교’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다(Trần Quốc
Vượng, 2000: 91). 그렇지만 어렵다고 해도 둘은 원래 다른 두 개념이라서 구별할 수
없는 것이 아니다.
첫째는 종교와 숭배의 유사점이다. 숭배와 종교는 사람들이 어떤 그룹에 속하여
신이나 초자연적인 대상을 믿을 뿐만 아니라 충고나 원칙과 같은 것을 완전히 확실하고
따라한다. 그외에 종교와 숭배는 인간과 인간의 사이, 인간과 사회의 사이, 인간과
공동의 사이가 좋아지기 위아여 자신이 속한 그룹의 숭배나 종교를 믿음으로써 인간의
행위를 잘 조절한다.
둘째는 숭배와 종교의 차이점이다. 종교는 4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야 한다. 바로
종교창립자 – 그 종교를 만들어 세운 사람, 교의 – 신앙 내용이 진리로서 공인된 가르침,
교리 – 원리나 이치 그리고 신도 – 그 종교에 자발적으로 믿고 따라하는 사람이다.
반면에 숭배는 이상에 언급된 모든 4 가지 요소가 필요없다(Nguyễn Quang Khải).
다르게 말하자면 숭배의 내포는 종교보다 작다. 왜냐하면 ‘종교’라면 숭배, 신앙,
믿음외에 엄격한 원칙을 반드시 지켜야 하지만 ‘숭배’라면 단지 ‘존경하는 마음’을
6
갖으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종교의 신도라면 유일한 종교에 속해야 하는 반면에
숭배를 가지는 사람은 여러 가지를 믿을 수 있다.
이상에 제시한 것을 바탕으로 성문화는 ‘숭배’라고 할 수 있는데 ‘종교’라고 할
수 없다. 더구나 국어사전에 따른 성숭배의 정의에는 ‘종교’가 아니라 ‘원시 종교’가
써진다. ‘원시’는 처음 시작된 그대로 있어 발달하지 아니한 상태이다. 성숭배 문화는
원시적인 신앙의 한 형태라서 강제적이지 않으며 전통 풍습.제의와 함께 주민들의
생활과 가깝다.
1.2. 성숭배 문화의 기원과 역할
인류는 사회의 주인이다. 사회를 발전시키는 데에 인류가 부족해서는 안 되는
필수한 요소이다. 그리고 생산과 재생산으로만 인류가 생존하며 인류 사회가 존속하고
발전할 수 있는 명백한 사실이다. 생산과 삶을 유지하는 것은 인간의 절실한 수요이다.
어떤 시대에든 성숭배는 인간의 다산과 농경적 풍요 기원을 잘 반영하였다.
고대시대에서는 인류의 지적 이해가 아직도 부족하여 인간의 성행위와
재생산에 관련된 과정을 이해하지 못하였다. 인간에게 성은 다산과 풍요와 같은 좋은
것을 가져다 주어서 성스러운 것이라고 믿었다. 그러므로 인간은 성에게 신비감과
경외감을 가지게 되었다.
Mai Ngọc Chừ (2008: 574)에 따르면 삶을 살기 위해 농민들은 농사가 잘 되고
가축이 잘 성장하는 것을 원한다. 인간의 주요 음식이기 때문이다(동물과 식물을
포함한다). 또한 종족을 유지하고 사회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인간은 번식이 필요하다.
이렇게 객관적인 수요는 성숭배 문화를 일으켜 발전시키는 전제다. Vũ Anh Tú (2008),
Nguyễn Thị Anh Hoa (2011)도 같은 관점을 가진다. 인간은 물론이고 동물, 식물의
다산을 기원한 마음을 잘 반영하는 성숭배 문화는 다양한 형식으로 숭배되었다.
따라서 성이 숭배의 대상이 된 것은 인간 및 동물.식물의 다산과 풍요라는
기원을 잘 표현하였다. 역사의 어떤 일정한 기간, 일정한 지역이나 일정한 민족에만
7
존재한 것이 아니라 긴 역사의 흐름속에, 전세계의 모든 지역과 모든 민족에는
성문화가 존재하고 있다는 흔적이 많다. 특히 농경사회에는 성숭배는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주민들 생활에는 어마어마한 역할을 맡는다고 확신할 수 있다. 왜냐하면
농경사회에는 인력이 많으면 많을수록 농업 활동을 많이 더 할 수 있어 능률이
높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왕성한 생식력으로 인하여 다산과 풍요를 기원하는 것은
보편적이다.
1.3. 성숭배 문화의 대상
성숭배는 ‘생식기 숭배’와 ‘성교 숭배’를 2 대상으로 숭배하는 문화현상을
말한다. 생식기와 성교는 생식원리이기 때문에 그것의 모양을 상징하거나 유사한
대상물은 숭배된다.
1.3.1. 생식기 숭배
‘생식기’란 생물의 생식에 관여하는 기관이다. 생식기 숭배는 남자와 여자의
생식기 형태나 모형을 숭배의 대상으로 여긴다는 민속신앙을 말한다. ‘성기 숭배’라는
타 명칭도 많이 불리고 있다 3 . 이종철(1995)에 따르면 생식기에 대한 숭배 형태는
여성기 숭배, 남성기 숭배와 남녀 성기 숭배 다시 3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3.2. 성교 숭배
‘성교 숭배’란 남녀가 성기를 결합하는 것을 공경하는 행위를 말한다. 성교
행위가 없다면 인간을 비롯한 만물이 없어 사회가 발전할 수 없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생식기와 함께 성교 행위는 인간의 숭배 대상이 되었다.
3
생식기와 성기는 동의어이기 때문이다.
8
1.4. 성숭배 문화의 표현
성숭배 문화는 다양하게 표현해 온다. 인간은 생식기와 성교를 숭배하도록
생식기와 성교 형태와 유사한 대상물을 숭배할 뿐만 아니라 다른 형식으로 표현하였다.
전통 축제, 놀이, 예술이나 연희 따위를 통하여 성숭배는 뚜렷하게 나왔다.
한국 – 베트남은 전세계에서 성숭배 문화를 가지는 나라 중에 두 나라다. 성숭배
문화는 전 세계에서 광범하게 존재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서양보다 동양
나라들의 성숭배 문화는 더 뚜렷하고 다양하게 표현된다.4
일본에는 성숭배와 관련 노골적이고 공개적인 축제가 매우 많으면서
관광객들의 주목을 끈다. 예를 들어 매년 4 월 첫번째 일요일마다에는 Kawasaki 성에서
'Kanamara Matsuri Festival' 또는 다른 명칭인 '쇠 성기 축제'라는 전통 축제로 남근
축제가 열린다. Aichi 성, Komaki 시에서 매년 3 월 15 일에 행하는 풍년제5에는 직경
60cm, 길이 2.5m, 중량 280kg 정도 되는 통나무로 깎은 남근을 여럿이 둘러메고 거리를
돌고 난 뒤에 신전에 봉안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를 올린다.
부탄에서는 남근은 악귀를 쫓고 행운과 번영을 가져다주는 상징으로 믿고 있어
처마에 남근을 걸어 놓거나 마을의 집이나 카페의 벽에는 모두 남근상이 그려져 있었다.
인도에는
1986
년
유네스코에게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Khajuraho 사원들은 남녀의 성행위를 통한 성숭배 문화를 적나라하게 표현한
곳이다. 그외에도 인도교도들은 석제6 남근을 생산신으로 숭배한다. 또한 10 월 말부터
11 월초 새달이 떠오를 때에 남근제를 지낸다. 그리고 남녀의 성교 자세를 조각한
‘환희천상’7을 신으로 산앙하고 있다.
4
동양의 나라들은 주로 농경사회인 경제 형태에 따르기 때문이다. 이를 본고의 제 3 장에 자세히 더
분석할 것이다.
5
풍년제(豊年祭)는 한 해 농사를 잘 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축제이다.
6
석제(石製)는 돌으로 만드는 것이다.
7
환희(歡喜)는 매우 큰 기뻐함이고 천상(天像)은 천체가 변화하는 여러 현상을 뜻한다.
9
태국에서는 사원 앞에 남자 성기 모양의 커다란 통나무를 세워 놓고, 그 앞에
가서 젊은 남녀들이 소원을 빈다. 방콕의 한 불교 사원에도 대형 석제 남근과 사람
키정도의 목제8 남근에 붉은색을 남녀들이 칠해 매달아 놓고 신앙한다.
유럽에서는 농부들이 봄에 밭에 씨앗을 뿌리고, 그날 밤에 밭에 나가 부부
관계를 하였다고 한다. 이것은 부부의 성행위에 의해 어린아이가 생기듯이 하늘과 땅이
조화를 이루어 농사가 잘 되게 해 달라는 의미를 지닌 것이다. 성신앙이 농경의례로
바뀐 예는 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중국 등지에서도 발견된다(최운식, 2011).
이상에서 제시한 것은 다만 성문화 표현의 작은 일부일 뿐이다. 다르고 기이한
성문화의 표현은 여전히 많다. 요약해 말하자면 성문화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면서
모든 민족에는 존재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8
목제(木製)는 나무로 물건을 만드는 것이다.
10
제 2 장. 한국과 베트남의 성숭배 문화 특징
이 부분에는 한 – 베 성숭배 문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필자가 양국의 성문화
특징들을 간단하게 설명함으로써 독자들은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제 1 장 – 개괄 부분에서 제시했던 것처럼 성숭배 문화는 다양한 표현으로
드러난다고 하였다. 유물.유적도 있으며 전통 축제.놀이도 있다. 다른 말로 하자면
성숭배 문화는 ‘유형 대상물’ 및 ‘무형 유산물’을 이렇게 2 가지로 나눌 수 있다고 본다.
‘유형 대상물’ 부분에는 필자는 ‘자연적 대상물’ 및 ‘인공적 대상물’로 계속
나누어 볼 것이다. 여기의 자연적 대상물은 자연에서 100%로 비롯하여 원시인들은
그대로 숭배하며 아무것도 바꾸지 않았던 것을 가리켰다. 자연암석, 자연돌과 같은
대상물 등이다. 반면에 인공적 대상물은 인간이 간섭을 다소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그
대상물은 자연 물질인데 주민들은 어떠한 것을 바꾸어 숭배하기 때문에 인공이라고
브른다. 목제, 석제 대상물 등이 이에 속한다.
‘무형 대상물’ 부분은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 전설.이야기 또는 전통 축제, 놀이,
제의 또는 풍습과 같은 연희를 가리켰다. 지금부터 다음과 같이 한국과 베트남
각국마다 성숭배 문화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2.1. 한국의 성숭배 문화 특징
2.1.1. 유형 대상물로 표현하는 성숭배
2.1.1.1. 자연적 대상물9
옛날부터 주민들은 자연에서 비롯한 것을 성문화의 대상물로 숭배한다. 여기의
대상물은 주로 생식기 형태와 꼭 닮은 자연석, 돌, 바위와 같은 유형물을 이용하여
9
문화재연구소(1994), ‘제 II. 1 장 – 성숭비의 역사성과 현재성’ 및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지역별
성숭배 문화’를 참조하여 종합한다.
11
숭배한다. 한국에서 삼천리 방방곳곳에서 남근석, 여근석과 같은 암석들이 발견되었다.
남근석과 여근석이라는 명칭은 가장 많이 보편적인 것이다. 그외에도 타 명칭도 많이
불린다. 비교적으로 고상한 것도 있고 노골적인 것도 있다. 예를 들어 여근암, 남근암,
성기바위, 처녀바위, 미륵바위, 옥문바위 등은 비교적 고상한 이름이었는데 다른
노졸적인 표현을 말하기가 찜찜하다.
성숭배 문화는 옛날부터 존재해 오는데 유적.유물이 수두룩하다. 그래서 모두를
제시할 수 없고 한국의 지방마다 제일 눈띄는 것만 언급하고자 한다. 한국 전국에서
존재해 있는 대상물은 다음과 같다.
서울시 서대문구 안산동 안산에 ‘까진바위’라는 커다란 남근석이 있다. 이
바위의 한쪽 면은 남근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바위의 남근처럼 보이는 부분에 작은
돌로 비빈 주먹만한 작은 구멍이 많이 나 있어 성행위를 방위한다. 돌멩이를 대고
문지르면 아들은 낳는다고 믿는다.
서울시 서대문구에도 현저동 인왕산의 선바위 10 가 있다. 국사당 11 의 위쪽에는
선바위라는 커다란 두 바위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임신을 원하는 부인들이
선바위에 빌면 효험이 있다는 말이 전해지고 있다. 특히 작은 돌은 선바위에 붙이면
효험이 크다고 하여 돌을 문질러 붙인 흔적들이 많이 남아있다.
경기도에는 가평군 가평읍 승안리 용추계곡의 미륵바위는 성문화의 표현이다.
용추 폭포의 한 쪽에는 기이한 큰 바위 하나가 서 있다. 높이가 230cm 정도로
‘미륵바위’는 남근의 모습을 하고 있어 남근의 형상을 한 성석으로 기자속의 현장이
된다. 아들을 원하거나 고치기 어려운 병에 걸렸을 때 이 미륵바위에 백일치성을
드리면 효험이 있다고 믿는다. 그외에 경기도에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삼막사의
남녀근석이 있다. 남근석의 높이는 150cm 정도이며 여근석은 110cm 정도이다. 이
10
산이나 들 또는 물 가운데에 우뚝 서 있는 커다란 바위이다. 그런 행태로 주로 남근석이다.
11
조선 태조가 한양에 도읍을 정하고 나서 도성의 수호 신사(守護神祠)로서 지은 사당. 북악산의 북악
신사(北岳神祠)와 남산 꼭대기에 둔 목멱 신사(木覓神祠)가 있으며, 무신도(巫神圖)를 모셔 일반
사람들의 기도 장소가 되었다.
12
남근석과 여근석을 문지른 뒤 자식을 점지해 주고 안전한 출산과 가족의 번영,
무병장수 등의 소원을 빌면 사실이 될 것이라고 한다.
성문화를 반영하는 자연석들을 전라도에서도 많이 찾았다. 남원시 소동면
송내리 소란이마을에 남근석, 나주시 산포면 산제리에 아들바위, 순창군 팔덕면 산동리
팔왕마을에 미륵, 순창군 팔덕면 창덕리 태촌마을에 미륵, 영암군 덕진면 노송리에
각시바위, 영암군 영암읍 춘양리에 남근바위와 여근바위, 한평군 대동면 덕 산리 1 구
아차동에 미륵할머니 등이다.
충청도는 성숭배 문화에 관련된 자연석을 많이 지니는 곳이다. 다들 구체적으로
말하기가 어려운데 가장 대표적인 자연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바로 괴산군 연풍면
주진리 은티마을에 남근석, 대전시 대덕구 법동에 남근석과 여근석, 서산시 고북면
가구리 1 구에 남근석, 충청북도 영동군 용사년 부상리 큰골마을에 남석과 여석, 옥천군
안남면 청정리 송정마을에 할아버지.할머니 바위와 공알바위 12 ,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무도리 음지만실에 공알바위, 천안 봉명동에 미륵바위와 남근석 따위다.
경상도에는 남해군 남면 홍현리 가천마을에 미륵, 아동시 와룡면 가구리에
남근석, 의령군 칠곡면 신포리에 칠성바위 13 , 진주시 명석면 신기리 동전마을에
자웅석14을 지닌다.
강원도에서도 원주시 치악산 세준대 아들바위, 화천구 사내면 용담리 아들바위,
화천군 사내면 삼일 1 리 보지바위15는 성신앙을 표현한 대상물로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한국 대부분 지역에서는 성숭배의 흔적을 남근석와 여근석으로
쉽게 볼 수 있다. 몰론 각 남근석과 여근석과 관련된 전해지고 있는 전설이나 이야기는
12
여근석과 유의어이다. 여성의 생식기를 상징하는 것이다.
13
남근석이다.
14
‘남자돌’ ‘여자돌’ 이라는 불리는 자웅석 한 쌍이 놓여져 있다.
15
보지바위는 마치 여자 성기 모양으로 생겼다. 보지는 여자 생식기의 다른 말이다.
13
다르지만 다들의 유사점은 자식 낳기, 가족들의 건강과 화목, 무병장수와 같은 인간의
소원이 담겨 있는 것이다.
2.1.1.2. 인공적 대상물16
인공적 대상물에 대해 말하자면 첫째로 ‘암각화’를 제시해야 한다. 고고학적
자료나 역사민속학적 자료를 통하여 한국의 원시마술 가운데 암각화는 성을 표현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암각화는 선사시대부터 역사시대에
걸쳐 널리 세계 각지에서 나타나는 예술품이다. 국어사전에 따르면 ‘바위그림’과
비슷하다고 설명한다.
한국의 대표적인 암각화는 바로 선사시대에 해당하는 울산 반구대 암각화다. 이
암각화에는 수많은 인물상들이 등장하는데, 그 가운데 동물들의 교미 자세상과 두팔로
성기를 노출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는 한국에서 생식기를 드러낸 첫 사례다. 따라서
생식기 숭배 신앙의 기원으로 여길 수 있다.
둘째, 발굴을 통해서 얻어진 자료 가운데 신라의 토우상은 성숭배 문화를 매우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토우는 흙으로 만든 사람이나 동물의 상이다. 여기에
신라시대의 토우는 부장품으로 사용되어 무덤과 함께 묻히는 것을 가리킨다. 토우는
다양한 모습으로 만든 후 무덤에 넣는다. 기마상, 배를 타고 있는 사람, 수럽하는 사람,
성교중인 사람,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과 같은 인물상들이 있다. 그리고 개, 말, 뱀, 토끼
등 같은 다양한 형태의 동물상도 있다. 그런데 얻어진 토우 가운데 주목을 가장 많이
받은 것은 바로 남녀상과 성교중인 남녀상이다. 경주 노동리에 뱃사공의 토우상은
남근을 과장되게 표현된다. 또한 남자보다 여자 쪽을 크게 만든 토우상도 있으며
남녀가 성교합중에 있거나 남근을 곧두세워 여인의 음부에 맞대고 있는 모습도 있다.
그외에 임신부와 출산중인 여인 모습까지도 있다. 이 토우는 모두 무덤의 부장품으로
묻힌 것은 신라시대의 시민들의 생활뿐만 아니라 성문화에 대한 의식을 반영할 수 있다.
16
이 부분은 차장섭(2009), 문화재연구소(1994)를 참조하여 종합한다.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