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ải bản đầy đủ (.pdf) (15 trang)

국제무역 특정요소 kinh tế quốc tế

Bạn đang xem bản rút gọn của tài liệu. Xem và tải ngay bản đầy đủ của tài liệu tại đây (246.12 KB, 15 trang )

3. 특정요소모형(Specific Factor Model)
3.1. 기본 가정
① 2개 생산요소(자본, 노동)로 2개 재화(X재, Y재) 생산
② 자본은 부문간 이동을 할 수 없음(X재 생산에는 Kx만, Y재 생산에
는 Ky만이 특정적으로 사용) : 자본은 특정요소(specific factor)
- 헥셔-오린모형에서는 자본도 부문간 이동 자유
- 단기 모형, 헥셔-오린모형은 장기모형
③ 노동은 총량은 고정되어 있으나, X재와 Y재 부문간 이동은 자유 :
노동은 유동요소(mobile factor)
④ 생산요소는 완전고용. 생산물시장과 생산요소시장은 모두 완전
경쟁적
- 생산함수가 오목함수 : 한계생산물체감의 법칙
3.2. 기본 개념
3.2.1. 한계생산물체감의 법칙(law of diminishing marginal product)
3.2.2. 생산함수(production function)
3.2.3. 요소(노동)수요곡선
3.2.3. 생산가능곡선(production possibility curve)


3.2.1. 한계생산물체감의 법칙
- 생산요소 중 자본은 일정하게 두고, 노동량만 증가시킬 때 생산요소의
투입이 일정 수준 이상 증가하면 총생산량의 증가율(한계생산)은 체감
- 생산에서 일반적인 현상
- 노동의 한계생산이란 노동 한단위 증가에 대한 산출물의 증가량을 의미
<총생산량(TPL), 평균생산량(APL), 한계생산량(MPL)

자본

노동

총생산량



평균생산량 한계생산량

1

1

5

5

5

1

2

12

6

7

1

3

24

8


12

1

4

40

10

16

1

5

55

11

15

1

6

66

11


11

1

7

74

10.5

8

1

8

80

10

6

1

9

85

9.5


5

1

10

89

9

4


3.2.2. 생산함수
- 생산공정에 투입하는 투입량과 이로부터 생산되는 최대 산출량과의
물리적 관계를 표현하는 함수 : 투입요소와 생산량과의 관계
- X재의 생산함수 : X = X(LX, KX)
- Y재의 생산함수 : Y = Y(LY, KY)
- 생산물시장과 생산요소시장은 모두 완전경쟁적인 경우의 생산함수
X재 생산량

Y재 생산량

- X재와 Y재의 생산은
투입되는 노동의 양에
의해 결정
- 수확체감의 법칙에 의해
한계생산은 투입노동량이
증가할수록 줄어들어

우측으로 휘어지는 생산함수

OX

X재 생산에 투입되는 노동량 LX

OY

Y재 생산에 투입되는 노동량 LY


생산곡선

생산량

O

생산함수
영역

노동


3.2.3. 요소(노동)수요곡선
- 총노동량 : L = LX + LY,

- 임금 : w
- X재 자본비용(이자율) : rX
- Y재 자본비용(이자율) : rY
- X재 생산자 이윤 : πX = 수입 – 비용

= Px•X(LX, KX) – w•LX – rX •KX
⇒ (LX에 대해 편미분) : Px•MPLX- w = 0 : w = Px•MPLX = VMPLX
- Y재 생산자 이윤 : πY = 수입 – 비용
= PY•Y(LY, KY) – w•LY – rY •KY
⇒ (LY에 대해 편미분) : PY•MPLY- w = 0 : w = PY•MPLY = VMPLY

⇒ w = Px•MPLX = PY•MPLY = VMPLX = VMPLY
- 노동의 이동이 자유이므로 두 산업의 임금은 동일
⇒ (KX에 대해 편미분) : Px•MPKX- rx = 0 : rx = Px•MPKX = VMPKX
⇒ (KY에 대해 편미분) : PY•MPKY- rY = 0 : rY = PY•MPKY = VMPKY


- 노동의 추가적 증가는 각 노동자가 사용할 수 있는 자본을 줄어들게
하므로 노동력의 계속적인 증가는 노동의 한계생산을 감소시킴.
- 노동의 한계생산은 노동 투입량의 추가적인 증가에 의한 산출량의
증가. 생산함수의 기울기를 반영하는 것으로 노동의 사용이 증가할
수록 노동의 한계생산이 감소
X재 생산량

OX

노동의 한계생산 : MPLX

X재 생산에 투입되는 노동량 LX

- X재나 Y재나 한계생산은 투입노동량이 증가할수록 줄어들기 때문에
한계생산가치(value of marginal product of labor : VMPL) 곡선도
우하향, 원점에 대해 볼록

LX



<요소(노동)수요곡선 : 한계생산가치곡선> : 소득의 분배
X재 한계생산가치
VMPLX
AX

Y재 한계생산가치
VMPLY
AY

w = Px•MPLX

w = PY•MPLY
EX

B

B

OX

DX

LX

OY

EY


DY

LY

- DX, DY는 X재와 Y재 생산에 투입되는 노동공급량
-

는 재화 생산에 사용된 노동(LX, LY)에 지급되는 총 임금가치 :
노동자에게 분배

-

는 재화 생산에 사용된 자본(KX, KY)에 지급되는 이자 :
자본가에게 분배


3.2.4. 생산가능곡선
Y재

생산가능곡선

D
C

① 노동의 배분 : G
② X재와 Y재의 생산함수에서

N

생산함수


X와 Y의 생산수량 결정
③ X와 Y가 만나는 점 : N

N’

Y = Y(LY, KY)

④ AB선상의 각 점들에 대한
X와 Y의 생산수량 결정

LY

A

F

L = LX + LY

⇒ 생산가능곡선
(원점에 대해 오목)

K

G
노동의 배분

X재

E


G’
B
LX

생산함수

X = X(LX, KX)

- N의 기울기 < N’의 기울기
- X재 생산이 증감함에 따라
X재 한단위 더 생산하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Y재가 더 커짐
(Y재로 표시된 X재의 기회비용)

- W = Px•MPLX = PY•MPLY ⇒ MPLY / MPLX = PX / PY
- 실제 생산점에서 생산가능곡선의 기울기 = 상대가격


3.2.4. 교역조건(상대가격) 변화에 의한 생산량 및 소득분배 변화
- X재와 Y재의 노동의 한계생산가치곡선이 맞나는 점(E)에서 균형임금과
노동량 배분
① 한 재화의 가격 (Px) 만 상승하는 경우 생산량 변화
w

w

A’
상대가격(Px) 상승
A

w’
w

E’

- 동일한 비율로 노동수요곡선
이동(A-A’)
B - 임금도 오르지만(w-w’) A-A’
만큼 오르지는 않음 : X재에서의
노동량이 증가하면, X재의
노동의 한계생산이 감소
- X재에 대한 노동투입량 증가

E

- Y재에 대한 노동투입량 감소
- 균형임금 w에서 w’로 상승

LX

C

C’

LY

- 균형점은 E에서 E’로 이동
- 생산가능곡선점 N에서 N’
- X재 생산증가, Y재 생산감소



w
A’

w
B
10%

A
w’
10%
w

오르면(=상대가격 동일), 임금도

10%

동일한 비율만큼 상승

E’

- (w-w’) = (A-A’)

E

LX

- 만약 PX와 PY의 가격이 동일하게

LY


② 한 재화의 가격 (Px) 만 상승하는 경우 소득분배의 변화
- PX의 가격 상승은 동일한 비율로 노동수요곡선을 이동(A-A’)
- 임금도 오르지만(w-w’) A-A’만큼 오르지는 않음 : X재에서의 노동량이
증가하면, X재의 노동의 한계생산이 감소
- 노동자 : X재 노동의 실질임금(w’/PX’)은 낮아지고, Y재 노동의 실질임금
(w’/PY)은 상승


rx = Px•MPKX = VMPKX
rY = PY•MPKY = VMPKY
- KX 자본가 : X재 가격 상승 ⇒ X재 사용 노동량 증가 ⇒ KX의 한계생산성
상승 ⇒ rx 상승 : 소득 증가
- KY 자본가 : X재 가격 상승 ⇒ Y재 사용 노동량 감소 ⇒ KY의 한계생산성
하락 ⇒ rY 하락 : 소득감소
③ 무역의 이익

Y재

- 상대가격 변화에 따라 국가 전체적으로는

C’

소비점이 N에서 C’로 상승(후생 증가)
- 국내 : 요소 수요자간 소득 분배 변화

N

- 손해를 보상할 제도적 장치가 없거나,


N’
P’X/PY

PX/PY
X재

중요산업이거나, 이해관계를 조정하기
어려우면, 무역 제한 가능성 상존


3.2.5. 생산요소의 증가 - 생산량 및 소득분배 변화
- 상대가격 동일
- 유동요소 노동, 특정요소 K의 증가 ⇒ X, Y 생산 및 소득분배에 영향
3.2.5.1. Y재에 사용되는 자본이 증가하는 경우
- KY 증가 ⇒ MPLY(Y재 생산에 사용되는 노동의 한계생산성 상승)
⇒ X재 생산 감소, Y재 생산 증가
Y재

Y = Y(LY, K’Y)

VMPLY

Y재
B

Y = Y(LY, KY)

PY•MPL’Y

A’

A

P
PY•MPLY

OY

LY

OY

DY

LY

W

X재

- KY 는 Y재 생산에만 사용


- X재 생산 감소 ⇒ X재 노동량 감소 ⇒ X재의 (Kx/Lx) 비율 증가
⇒ X재의 한계생산성(MPLX) 증가⇒ X재 생산 노동자의 실질소득 증가
- Y재 생산 증가 ⇒ Y재 노동량 증가 < 자본의 증가 ⇒ Y재의 (KY/LY) 비율 증가
⇒ Y재의 한계생산성(MPLY) 증가 ⇒ Y재 생산 노동자의 실질소득 증가
- (Kx/Lx), (KY/LY) 증가 ⇒ 자본의 한계생산성 하락 ⇒ 자본가 소득 감소
w
A’


w
B
자본의 증가

w’
w
LX

E’
E

X에서 Y로 이동된
노동량

LY


3.2.5.2. 노동이 증가하는 경우
LY

Y재

LX

X재

w

w
VMPLY


w’

VMPLX

LY

LX

- 노동 증가 ⇒ 생산가능곡선 이동 ⇒ X재, Y재 생산 증가
- X재, Y재 생산 증가 ⇒ (Kx/Lx), (KY/LY) 하락 ⇒ 자본의 한계생산성 상승
⇒ 노동자 소득 감소, 자본가 소득 증가


구분

특정요소의

증가

유동요소의
증가

KX 증가

KY 증가

L 증가

X재 생산량


증가

감소

증가

Y재 생산량

감소

증가

증가

X재 자본가 소득

하락

하락

상승

Y재 자본가 소득

하락

하락

상승


임금

상승

상승

하락



×